▲ 박원순 서울특별시장
서울시가 한 해 청년수당 대상자를 4배 이상으로 늘려 3년간 총 10만 명에게 수당을 지급하고, 청년 1인 가구에는 최장 10개월간 월세 20만 원을 지원키로 했습니다.
그러나 막대한 예산을 투입한 현금성 복지라는 점에서 '세금 퍼주기' 논란이 불거질 우려도 있습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23일 서울시 청년일자리센터에서 열린 '청년·서울시장 타운홀미팅'에서 청년수당 확대 및 청년월세지원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청년 문제의 양대 산맥인 구직과 주거의 출발 불평등 선을 해소한다는 게 이번 계획의 목표라고 서울시는 전했습니다.
3년간 투입 예산은 총 4천300억 원(청년수당 3천300억 원, 청년월세지원 1천억 원)으로, 모두 서울시 자체 예산입니다.
시는 우선 월 50만 원의 구직 비용을 최대 6개월간 지원하는 청년수당 수급자를 현재 연 7천 명에서 향후 3년간 총 10만 명으로 대폭 늘립니다.
내년에 1천8억 원을 투입해 대상자를 올해의 4배 이상인 3만 명으로 늘리고, 2021년과 2022년에는 연간 3만 5천 명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잠재적 대상자 모두에게 청년수당을 지급할 수 있을 것으로 서울시는 기대했습니다.
10만 명은 만 19∼34세 서울 인구 중 청년수당 대상자가 아닌 취업자·입대자·기존 청년수당 수급자·졸업 후 2년 이내 미취업자를 제외한 14만 5천 명에 실제 사업 신청 비율 70%를 적용한 수치입니다.
그동안은 중위소득 150% 미만 등 기본 요건을 충족하는 미취업 청년 중 대상자를 선발했으나, 앞으로는 기본요건을 충족하는 청년 누구나 신청만 하면 청년수당을 받을 수 있게 된다고 서울시는 설명했습니다.
청년수당 지급에는 내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3천300억 원이 투입됩니다.
대상자 요건은 기존과 동일합니다.
만 19∼39세 서울 인구 중 졸업 후 2년이 지나고, 중위소득 150% 미만인 미취업 청년입니다.
서울시는 또한 청년 1인 가구에 월세 20만원을 최대 10개월 동안 지원하는 사업을 새로 시작합니다.
내년 5천 명을 시작으로 2021년과 2022년에 연간 2만 명씩, 3년간 총 4만 5천 명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대상자는 만 19∼39세 중위소득 120% 이하 청년 1인 가구입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서울에 사는 만 20∼39세 청년 1인 가구는 58만 가구이며, 이 중 63.7%는 월세로 살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이와 별도로 만 19∼39세 청년을 대상으로 한 임차보증금 대출과 이자 지원 기준을 완화합니다.
내년부터 연 소득 조건은 3천만 원에서 4천만 원으로 올리고, 보증금 대출 규모는 2천500만 원에서 7천만 원까지 올립니다.
서울시는 내년 총 1천 명 지원을 목표로 잡고 4억 3천500만 원을 편성할 예정입니다.
서울시는 아울러 다양한 세대가 참여하는 '청년 불평등 완화 범사회적 대화기구'를 12월부터 가동합니다.
내년부터는 격월로 포럼, 토론회, 세미나 등을 열고 공정 채용·소득 불평등 등 다양한 의제를 논의합니다.
청년수당 확대와 월세 지원은 '서울청년시민회의'를 통해 청년들이 직접 제안한 정책입니다.
서울시는 내년도 청년수당 예산 1천8억 원과 청년주거비지원 예산 104억 원 등 총 1천112억 원을 편성해 시의회에 제출할 예정입니다.
기타 청년지원사업을 모두 합하면 내년 청년예산은 역대 최대 규모인 약 5천억 원(67개 사업)이라고 서울시는 설명했습니다.
청년수당 확대는 2016년 첫 도입 후 그간 사업이 성공적이었다는 서울시의 자신감에서 비롯됐습니다.
서울시가 작년 참여자 3천151명을 추적 조사한 결과 47.1%가 취업, 창업, 창작활동 등을 통해 '자기 일을 찾았다'고 답했습니다.
83.0%는 '수당이 구직목표 달성에 매우 도움이 됐다'고 답했고, 88.7%는 '다른 정책보다 직접적으로 도움이 됐다'고 밝혔습니다.
청년수당에 대한 만족도는 99.4%에 달했습니다.
그러나 구직활동 지원이라는 도입 취지와 달리 일부 수급자들이 노래방, 영화관 등에서 유흥비로 쓴 사실이 알려지면서 '세금 퍼주기' 논란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재정 부담으로 수당을 도입하지 못하는 다른 지자체와 형평성 문제도 제기됩니다.
박원순 시장은 "서울시는 힘든 현실을 견디는 2030 청년세대를 홀로 두지 않겠다"며 "자기 일을 꿈꾸는 청년, 독립생활을 꿈꾸는 청년에게 꿈 꿀 기회를 제공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박 시장은 "청년수당과 월세 지원은 큰 틀에서 보면 기본 소득의 하나"라며 "청년수당은 가장 절박한 분야에서 시작된 것이고 이런 부분에는 예산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 포퓰리즘이 아니라 리얼리즘"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