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의 통화 중 조 바이든 전(前) 미국 부통령을 조사하라는 압력을 행사했다는 의혹과 관련 젤렌스키 대통령이 누구도 자신을 압박할 수 없다고 주장하고 나섰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24일(뉴욕 시간) 유엔 총회 참석을 위해 미국 뉴욕에 도착한 뒤 러시아 TV 방송 '로시야'와 한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압박을 가했는가'라는 질문을 받고 "누구도 나를 압박할 수 없다. 왜냐하면 나는 독립 우크라이나의 대통령이기 때문이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내게 압박을 가할 수 있는 사람은 오직 한 사람, 나의 아들뿐이다"라고 농담조로 덧붙였습니다.
젤렌스키는 뒤이어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기후행동 정상회의 행사장에서 CNN 방송과 한 인터뷰에서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 내용은 "사적이고 기밀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녹취록이 공개되길 원하는가'라는 질문에 "두고 보자"고만 답했습니다.
이어 '미국의 우크라이나 군사 원조와 바이든 전 부통령 및 그의 아들에 대한 조사가 연계돼 있다고 생각했느냐'는 질문에는 답하지 않았습니다.
앞서 바딤 프리스타이코 우크라이나 외교장관도 지난 21일 자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바이든 전 부통령과 관련해 젤렌스키 대통령을 압박했다는 보도를 부인했습니다.
프리스타이코 장관은 "나는 대화(트럼프와 젤렌스키간 통화)가 어떤 내용인지 알고 있으며, 압력은 없었다고 생각한다"며 "대화는 길고 우호적이었으며 많은 질문을 다뤘고, 때때로 진지한 답을 요구했다"고 전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미국 언론매체들은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7월 25일 젤렌스키 대통령과의 전화 통화에서 바이든 전 부통령과 그의 아들 헌터 바이든을 조사하라는 부당한 압력을 행사했다고 보도했습니다.
트럼프는 바이든 전 부통령이 지난 2016년 초 자기 아들이 소속된 에너지 회사를 수사하던 우크라이나 검찰총장을 해임하지 않으면 10억 달러에 이르는 미국의 대출 보증을 보류하겠다고 우크라이나 측을 위협했다는 의혹에 대해 조사하라고 젤렌스키를 압박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