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경원 "미북 정상회담은 역사적이지만 통미봉남 고착화 우려"


오프라인 대표 이미지 - SBS 뉴스

자유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는 "어제 사실상 3차 미북 정상회담이 열렸다. 문재인 대통령 평가대로 역사적 회담이었다"고 평가했습니다.

나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하노이 회담 이후 끊긴 미북 대화가 다시 시작된 사실은 고무적"이라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그러나 나 원내대표는 "통미봉남의 고착화가 우려된다. 문 대통령이 운전자로 시작해 중재자를 자처하더니 이제 객으로 전락한 게 아닌가 싶다"며 "북핵 문제에 있어서 대한민국이 바로 당사자고 주인"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이 회담장 밖에서 대기해야 했던 현실이 환영할 일은 아니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또한 나 원내대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 실험에 대해 단거리여서 괜찮다는 취지로 말했다"며 "미국 본토에는 위협이 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별일이 아닌 듯 말하지만 분명 우리 안보에 심각한 위기일 수밖에 없다"고 밝혔습니다.

나 원내대표는 "영변 핵시설 폐기에 대해서도 트럼프 대통령은 하나의 단계라고 말했지만 문 대통령은 실질적 비핵화의 입구라고 과대포장을 했다"며 "화려한 남북미 회동 뒤에는 이처럼 좁히기 어려운 시각차가 존재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나 원내대표는 "비핵화를 그저 미북 정상회담에만 기대는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자세가 대한민국 국익의 셀프 패싱을 자초하는 게 아닌지 걱정된다"고 밝혔습니다.

국회 정상화와 관련해서는 "이번 주 안에 우리 당 몫의 예결위원장이 선출되도록 당내 절차를 시작하겠다"며 "재해 추경을 우선 심사하되 총선용, 선심성 추경은 철저히 삭감해 혈세가 낭비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나 원내대표는 이어 "지금 국회에서 필요한 것은 북한 동력선 입항 사건과 문재인 정권의 교과서 조작 사건에 대한 국정조사"라며 "여당은 청와대 방어에만 급급하지 말고 이 엄청난 논란과 의혹에 대한 진상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에 응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