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 "금융투자업 등록 않고 투자 계약…계약 자체는 유효"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자본시장법에 따른 금융투자업 등록을 하지 않은 업체와 체결한 투자일임 계약도 민법상 유효한 계약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취지의 대법원 판결이 나왔습니다.

대법원 1부(주심 박정화 대법관)는 김 모 씨가 투자자문회사 대표 이 모 씨를 상대로 낸 약정금 청구소송 상고심에서 "약정금 액수 산정에 법리 오해가 있다"며 원고 일부승소 판결한 원심을 깨고 사건을 서울고법에 돌려보냈다고 밝혔습니다.

김 씨와 이 씨는 2012년 이른바 'FX마진거래'식 투자일임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김 씨가 외환거래계좌로 투자금을 입금하면 이 씨가 이를 운용해 발생하는 수익과 손실을 50%씩 나눠 가지기로 하는 내용이었습니다.

2013년 9월까지 20억원의 수익이 나자 두 사람이 10억 원씩 나눠 가졌는데, 이후 투자 손실이 발생했는데도 이 씨가 9만 달러만 손실보전조로 지급하자 김 씨가 소송을 냈습니다.

김 씨는 이 씨가 거둔 이익 모두를 돌려받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씨가 미등록 영업을 했으므로 이 씨와 맺은 투자일임 계약은 자본시장법을 어겨 무효이고, 따라서 '부당이득'으로 챙긴 이 씨의 이익까지 돌려받아야 한다는 취지였습니다.

그러나 1·2심은 투자일임 계약이 유효하다고 판단했습니다.

김 씨가 사실상 미등록 영업이라는 점을 용인하면서 이 씨에게 투자를 맡겼으므로, 미등록 영업을 구실로 계약이 무효라고 주장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것이었습니다.

다만 "두 사람이 손실에 대해서도 각자 절반씩 나눠 가지기로 계약한 것으로 봐야 한다"며 1심은 '김 씨에게 1억 5천만 원을 지급하라'고 선고했습니다.

광고 영역

2심은 일부 금액을 상향 조정해 지급액을 1억 6천614만 원으로 올렸습니다.

대법원도 미등록 업체와 맺은 투자일임 계약이 유효인지를 두고는 2심과 같은 판단을 내렸습니다.

재판부는 "자본시장법이 금융투자업 등록을 하지 않은 투자일임업을 금지하는 취지는 투자자를 보호하고 금융투자업을 건전하게 육성하고자 하는 것"이라며 "이를 위반해 체결한 투자일임계약 자체가 사법상 효력까지 부인하지 않으면 안 될 정도로 현저히 반사회성·반도덕성을 지닌 것이라고 할 수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이 씨가 지급해야 할 약정금을 구체적으로 산정하는 방식을 두고는 일부 법리 오해가 있었다며, 2심 재판을 다시 하라고 결정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