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경기 위축의 영향으로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아파트 분양이 1년 전보다 70% 가까이 줄었습니다.
아울러 고(高)분양가 논란 등과 함께 지방 뿐 아니라 서울 등 수도권의 미분양 주택도 쌓여가고 있습니다.
30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전국 주택건설실적'에 따르면 3월 전국 공동주택 분양 물량은 전국 2만 5천944가구로 작년 같은 달(4만 5천42가구)과 비교해 42.4% 감소했습니다.
특히 서울(-55.6%), 인천(-13.5%), 경기(-80.3%) 등 수도권의 분양 규모가 작년 3월 대비 6.3%나 적은 1만 1천426가구에 그쳤습니다.
반면 지방(1만 4천518가구)의 분양 물량은 30.9% 늘었습니다.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에서도 3월말 현재 수도권 미분양 주택 물량(1만 529가구)은 2월(7천727가구)보다 36.3% 늘었습니다.
전국 미분양 물량도 5만 9천614가구에서 6만 2천147가구로 4.2% 불었습니다.
특히 서울의 경우 한달 새 미분양 주택 수가 50가구에서 무려 2.44배인 770가구로 불었습니다.
높은 분양가 등의 이유로 분양 초기 대규모 미분양 사태를 겪었던 'e편한세상 광진 그랜드파크'의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국토부 관계자는 "3월 미분양 증가분이 모두 'e편한세상 광진 그랜드파크' 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지난 2월 0개 였던 광진구의 미분양 물량이 3월에는 721개로 늘어난 것은 사실"이라고 전했습니다.
규모별로는 85㎡를 넘는 중대 평형의 미분양(6천9가구)이 한달 새 5.8%, 85㎡이하 소형 평형의 미분양(5만 6천138가구)이 4.1% 각각 증가했습니다.
3월 전국 주택 인허가 물량은 5만 863가구로 지난해 3월(3만 8천479가구)보다 32.2% 증가했습니다.
특히 서울의 인허가 증가율이 241.3%(4천361→1만 4천885가구)에 이르렀습니다.
유형별로 나눠보면 3월 인허가된 아파트(3만 7천550가구)의 증가율(작년 동기 대비)이 43.6%, 아파트 외 주택(1만 3천313가구)이 7.9%로 집계됐습니다.
지난달 전국에서는 작년 3월보다 44.9% 적은 2만 9천 가구가 착공됐습니다.
수도권(-44.8%)과 지방(-45%)에서 고루 착공 실적이 저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