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새 학기를 맞아 전국 대학가 불법복제에 대한 집중단속에 나섭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저작권보호원은 3월을 대학교재 불법복제 행위 집중단속 기간으로 정하고, 문체부 저작권 특별사법경찰과 저작권보호원 현장조사팀 등 50여 명 규모의 특별단속반을 구성해 권역별 단속을 실시한다고 25일 밝혔습니다.
대학가 주변 복사 업소를 불시 점검하는 방식 위주로 단속하되, 불법 복제물 전자파일 유통에 관여하는 책 스캔 업소와 유포자도 적발해 엄정하게 처벌할 방침입니다.
집중단속 기간 대학교재 불법복제 신고 전화(☎ 1588-0190)도 운영해 침해 행위에 즉각 대응할 계획입니다.
문화체육부는 학술출판협회 등 관련 단체와 함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저작권 침해 예방을 위한 홍보캠페인도 펼칩니다.
학술출판협회는 대학교육협의회 등과 협력해 집중단속 기간 전국 450개 대학에 불법복제 근절 현수막과 포스터를 부착하고, 전국 50개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불법복제 근절 안내문을 배포할 예정입니다.
작년 하반기 실시한 '대학교재 불법복제 이용실태 조사' 결과를 보면 대학생 중 절반 이상인 51.6%가 불법복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1학기당 필요한 교재 8권 중 2권을 불법적인 경로를 통해 구매하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불법 복제물 주요 구매 경로는 PDF 등 전자파일(47%), 전체 제본(32%), 부분 복사(26%) 순이며, 강의 때 전자기기를 활용하는 대학생들(72.2%)이 늘어남에 따라 불법 전자파일의 유통 비중도 높아진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특별단속반은 지난해 출판 불법 복제물 총 302건, 1만5천545점을 대학가에서 적발했으며 2천275건의 계도·예방조치 내렸습니다.
(사진=한국저작권보호원, 문화체육관광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