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천억 현금 갖고 도망간 IS 대원들, 갈 곳 잃은 포로들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한때는 영국 크기만큼 영토를 장악했던 IS가 지금은 시리아의 작은 시골 마을에 포위된 채 저항하고 있습니다. IS에 합류했던 유럽이나 미국 국적 조직원들이 고국으로 돌아가려는 행렬도 이어지고 있는데 입국 불허 조치에 찬반 논란이 거셉니다.

카이로 이대욱 특파원입니다.

<기자>

IS 최후 장악지역에서 탈출에 성공한 소년의 얼굴엔 긴장감과 안도감이 뒤섞여 있습니다.

[데이빗 유뱅크/시리아 내 구호단체 활동가 : 지난 2주 동안에만 5천 명이 탈출했습니다. IS는 탈출하는 주민을 겨냥해 총격을 가했습니다. 탈출 중에 다친 아이들을 치료하고 있습니다.]

주민들이 목숨을 건 탈출에 나서는 건 연합군의 최후 공격 시점이 임박했기 때문입니다.

수백 명의 IS 조직원들 사이에선 '항복'이냐 '결사 항전이냐'를 놓고 충돌까지 벌어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IS 대원 일부가 2천억 원 이상의 현금을 들고 이라크 산악지대로 탈출했다는 소식도 들립니다.

IS는 점령지역의 원유 판매와 세금 징수로 막대한 현금을 보유해 왔습니다.

광고 영역

이런 가운데 외국 국적의 IS 포로 처리 문제가 국제사회의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습니다.

[IS 조직원 부인/프랑스 국적 : 프랑스로 돌아갈 수 있을지 알고 싶습니다. (프랑스 사람들이 당신을 환영할 거라고 생각하나요?) 아니요.]

미국과 영국은 10대 후반에 시리아로 넘어가 IS 조직원과 결혼한 자국 여성들의 시민권까지 박탈하며 귀국을 막고 있습니다.

하지만 어린 자녀들의 귀향까지 막는 건 비인도적 조치라는 비난이 커지면서 각국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김부영)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