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 "충북선 고속화 예산 부족해 저속철 우려"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 충북선 철도 고속화 사업 구상안

충북선 철도 고속화 사업이 지난달 말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대상에 포함됐지만, 충청북도 내에서는 저속철을 면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정부와 충북도가 구상하는 노선에 차이가 있어 운행시간 단축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는 이유입니다.

충북도에 따르면 정부는 예타 조사 면제 대상 발표 때 이 사업 총예산을 충북도가 제시한 1조8천153억원보다 3천153억원 적은 1조5천억원으로 명시했습니다.

이 사업비의 차이는 연결선·경유선 신설 여부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충북도는 분석하고 있습니다.

지금 목포에서 출발한 열차가 강릉까지 가는 데 3번의 환승을 고려할 때 길게는 7시간, 짧게는 5시간 30분 걸립니다.

이를 3시간 30분으로 단축하려면 목포∼광주∼익산 고속선을 이용한 열차가 KTX 오송역에서 선로 교체 없이 충북선으로 진입할 수 있는 연결선을 새로 깔아야 한다는 게 충북도의 계획입니다.

그러나 정부 구상은 익산을 통과한 열차가 대전에서 경부선 일반선으로 갈아탄 후 조치원을 거쳐 오송으로 이동한다는 내용입니다.

광고 영역

이렇게 되면 오송 연결선 공사가 필요 없지만 열차 운행시간은 애초 계획보다 40여 분 늦어지게 된다는 겁니다.

충북도는 '제천 패싱' 우려도 제기하고 있습니다.

충북선으로 들어선 열차가 제천 원박역까지 이동한 후 봉양역에서 원주∼강릉 노선으로 원활히 갈아탈 수 있도록 원박∼봉양 경유선을 신설한다는 게 충북도의 구상입니다.

1조 5천억 원으로 충북선 철도 고속화 사업을 추진한다면 경유선 신설이 어렵다라고 충북도는 분석합니다.

충청북도 관계자는 "정부가 사업비를 3천억원 적은 1조5천억원으로 명시했다는 점은 기획재정부가 충북도 계획을 면밀하게 검토하지 않고 예전에 수립된 국토교통부 계획을 참고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기획재정부는 이달 말부터 오는 6월 말까지 충북선 철도 고속화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를 하고 이후 국토교통부가 기본계획 수립에 나섭니다.

(사진=충북도 제공)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