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 '황교안 출마 자격' 갈등…黃 "비대위, 찬물 안 끼얹을것"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자유한국당 유력 당권주자인 황교안 전 국무총리의 전당대회 출마 자격을 둘러싼 당내 논란이 가라앉지 않고 있습니다.

황 전 총리는 오는 29일 당 대표 출마를 공식 선언한다는 입장이지만 출마가 가능한지를 놓고 갑론을박이 이어지며 차기 지도부 선출을 위한 2·27 전대 레이스가 시작부터 혼란스런 모습입니다.

특히 당비를 3개월 이상 낸 책임당원에게 전대 출마자격을 부여한 당헌·당규와 후보 등록일 현재 당원이면 출마할 수 있도록 한 대표 선출 규정이 엇갈리며 황 전 총리 지지파와 반대파가 상충된 해석을 내놓아 논란은 증폭되는 상황입니다.

다만 전대 선거관리위원회가 비상대책위원회에 요청하고 비대위가 심의·의결하면 책임당원 자격을 부여할 수 있는 예외규정이 있는 만큼, 이를 적용할지 여부가 상황을 정리할 수 있는 첫 기준이 될 전망입니다.

지난 15일 입당한 황 전 총리의 자격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선 어떤 형식으로든 비대위 판단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 지도부의 손에 전대 판 자체가 좌우될 상황이 발생한 셈입니다.

황 전 총리는 이번 논란에 대해 "문제가 없다"고 선을 긋고 나섰습니다.

황 전 총리는 오늘 국회에서 기자들을 만나 "저는 법조인이다. 아무런 문제가 없다"며 "당헌·당규 앞뒤로 잘 보면 답이 다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아마 비대위에서 국민 여론과 한국당 분위기에 찬물 끼얹는 결정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잘 결정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친박계 등 황 전 총리를 지지하는 측은 비대위가 황 전 총리의 출마를 막으려고 문제를 제기한 게 아니냐고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김태흠 의원은 오늘 성명을 통해 "비대위가 영입한 인사에 대해 피선거권 논란을 제기하는 것 자체가 코미디"라며 "사적 유불리를 따져 편 가르기 차원에서 판단한다면 당원들의 저항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광고 영역

김정훈 의원도 성명을 통해 "김병준 위원장이 특정 후보에게 특정 계파의 카테고리를 뒤집어씌우고 있다"며 "김 위원장은 순리대로 전대를 관리한 뒤 조용히 떠나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들은 특히 당규의 당 대표 선출 규정을 들고 나왔습니다.

당 대표 선출 규정 제9조에 따르면 국회의원 선거 피선거권이 있고, 후보자 등록 신청일 현재 당원이면 전당대회 피선거권이 있습니다.

박완수 의원은 "후보 등록일까지 당적만 보유하고 있으면 당 대표 출마 자격이 있다고 봐야 한다"며 "이 같은 규정은 당 대표나 대통령 후보의 경우 언제든지 외부에서 훌륭한 후보를 모셔올 수 있도록 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황 전 총리의 전대 출마는 원칙에 어긋난다는 비판도 적지 않습니다.

전대 주자인 심재철 의원은 성명을 통해 "당헌·당규는 모두가 동일하게 적용받도록 만들어진 규정인데 사람마다 차별적으로 적용한다면 그야말로 내로남불"이라고 밝혔습니다.

심 의원은 "비대위가 당헌·당규에 고무줄 잣대를 들이대지는 않을 것이라고 믿는다"면서도 "만일 고무줄 잣대를 적용한다면 그로 인한 반발 등에 대해서도 전적으로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주호영 의원 역시 기자들과 만나 "보수정당은 법치주의를 근간으로 하고 있다. 당헌·당규는 당의 헌법·법률과 같다"며 "당헌·당규를 준수해야 시비가 없어진다. 편법이 있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논란이 증폭되자 전대 의장을 맡은 한선교 의원은 당 선거관리위원회에 후보 자격에 대한 유권해석을 의뢰하기로 했다며 진화에 나섰습니다.

한 의원은 오늘(27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전대에 참여하는 모든 후보는 결론이 날 때까지 자격 논란을 중지하고 국민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는 데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당 선관위는 모레 회의를 열어 황 전 총리의 전대 출마 자격 등에 대해 논의할 계획입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