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정부, '국제포경위 탈퇴' 확정…"식용 고래 포획 목적"


대표 이미지 - SBS 뉴스

일본 정부가 26일 약 30년 만에 판매용 고래잡이 재개를 위해 국제포경위원회(IWC)를 탈퇴한다고 밝혔습니다.

일본 정부가 식용 고래를 포획할 목적으로 고래 남획 방지를 위한 국제기구에서 탈퇴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국제사회의 비판이 거셀 것으로 예상됩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앞서 전날 각의에서 IWC 탈퇴안을 의결했습니다.

일본의 국제기구 탈퇴는 극히 이례적입니다.

일본은 IWC 탈퇴 이후 일본 근해나 일본의 배타적경제수역에서 고래잡이에 나설 방침입니다.

IWC의 규정에 따라 다음 달 1일까지 탈퇴 의사를 통보하면 내년 6월 30일에 발효된다고 교도통신은 전했습니다.

탈퇴가 확정되면 상업포경은 가능해지지만, 남극해에서 연구 조사를 위한 고래잡이는 할 수 없게 됩니다.

IWC 탈퇴는 과거 상업포경을 활발히 해 오던 홋카이도, 아오모리, 미야기 현 등을 지역구로 둔 여당 의원들의 상업포경 재개 압박을 일본 정부가 수용해서 이뤄지게 됐습니다.

그동안 일본은 IWC에 상업포경을 허용해 달라고 요청해 왔습니다.

이에 지난 9월 브라질에서 열린 총회에서 해당 안건이 회부됐지만, 반대 다수로 부결됐습니다.

광고 영역

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IWC 회원국으로 남은 채 고래잡이에 나서는 것은 곤란하다고 보고 탈퇴 가능성을 내비쳐 왔습니다.

일본 국민은 고래 고기를 즐겨 먹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니혼게이자이신문 등에 따르면 일본의 고래 소비량은 1960년대에는 연간 23만 t 이상이었습니다.

이후 고래잡이 과정의 잔혹성 및 식용에 대한 국제적인 비판과 포경 제한 등으로 소비가 줄었지만, 아직도 연간 5천 t가량이 유통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