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달러'에 랜드마크 판 도시…지금은 반전된 모습?


오프라인 - SBS 뉴스
오프라인 - SBS 뉴스
스웨덴 남부 항구도시 말뫼의 자랑이었던높이 138m, 1500t급 초대형 크레인.1980년대, 한창 번영했던 스웨덴의조선업을 상징하던 이 크레인은...
오프라인 - SBS 뉴스
2002년, 현대중공업에단돈 ‘1달러’에 팔렸습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스웨덴 말뫼 시의 버팀목이었던코쿰스 조선소가 문을 닫은 뒤애물단지로 전락했기 때문입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이후 실업률은 22%대까지 치솟았고,사람들은 일자리를 찾아 떠나면서말뫼 시엔 희망이 보이지 않았습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하지만 현재 이곳은‘내일의 도시’라고 불리고 있습니다.어떻게 이런 반전이 가능했던 걸까요?
오프라인 - SBS 뉴스
말뫼 시는 인근 덴마크 코펜하겐과연결되는 ‘외레순 다리’를 건설하고,대학교와 IT 기업을 대거 유치하면서첨단 IT 도시로 재탄생했습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IT 산업으로 경쟁력을 회복한 말뫼 시는신재생에너지 기술도 도입하기 시작했습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조선소가 있던 항만 지역에는옥상과 벽면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한친환경 주거단지가 들어섰습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시내 가로등은 태양 전지로 작동하고,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바이오 가스는자동차 연료로 활용됩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말뫼 전역에서 2030년까지재생에너지 사용을 100%로 늘릴 계획입니다.”- 롯따 한슨 / 말뫼 시청 홍보담당자신재생에너지를 적극 활용한 덕분에지난 20년간 말뫼 시의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은절반 이하로 줄었습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이런 변화는 새로운 첨단 산업의 발전과 함께 일자리까지 만드는 선순환으로 이어졌습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친환경 도시재생 프로젝트가말뫼 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되고도시 경쟁력을 높인 겁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대형 크레인이 있던 자리에는북유럽 최고층 빌딩 ‘터닝 토르소’가 새로운 랜드마크로 자리 잡았고
오프라인 - SBS 뉴스
조선소 폐쇄 뒤 23만 명까지 줄었던인구는 34만 명으로 늘었습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신재생에너지를 적극 활용하여지속가능한 도시로 변화한 말뫼 시. 에너지 산업의 미래를 고민하는 현시대에좋은 본보기가 되고 있습니다.

지난 2002년, 스웨덴 말뫼 시의 랜드마크 '코쿰스 크레인'이 단돈 '1달러'에 팔렸습니다.

말뫼 시의 경제버팀목이었던 조선소가 문을 닫은 뒤 애물단지로 전락했기 때문입니다. 말뫼 시는 당시 큰 경제적 타격을 입었지만, 이후 대학교와 IT 산업을 대거 유치하며 첨단 IT 도시로 재탄생했습니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기술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지난 20년간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절반 이하로 줄였습니다.

글·구성 이윤형 인턴, 권재경 / 그래픽 김태화 / 기획 조제행 / 제작지원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SBS 스브스뉴스)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