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례 치른 후 보험금 청구하니…"부검해라" 황당 요구


동영상 표시하기

보험사들이 보험금을 지급할 때 온갖 예외 규정을 대며 보험금을 제대로 주지 안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장례를 치르고 화장까지 다 했는데 부검을 해오라고 요구하는 일까지 있습니다.

정다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한 모 씨는 지난 5월 아버지 장례를 치른 뒤 유품을 정리하다 사망 시 5천여만 원을 받는 보험증서를 찾았습니다.

보험사들에 연락했지만 사인이 불분명하다며 한 곳은 보험금의 절반만 다른 한 곳은 아예 줄 수 없다는 답을 보냈습니다.

한 씨의 아버지는 친구 집 앞에서 갑자기 쓰러져 병원으로 옮겨지다 숨졌습니다.

사인은 급성 심근경색 추정.

병원에서 숨지지 않거나 사망한 뒤 부검을 받지 않으면 의사들 대부분이 사인 뒤에 붙이는 '추정'이란 표현을 문제 삼은 겁니다.

[한 모 씨/급성 심근경색 사망자 유족 : 매일 그것(심근경색) 때문에 힘들어하셨기 때문에 저희는 충분히 된다고 생각을 했었거든요. 그런데 추정이라는 단어로 이렇게 좌지우지된다는 거는 너무 좀 속상했죠.]

이미 화장까지 했는데 보험사는 부검해 심근경색 확정을 받아 오라는 겁니다.

광고 영역

하지만 금융감독원은 심근경색의 경우 부검감정서 사인에 '추정'이라고 적혀도 보험금을 지급하라고 지도하고 있습니다.

비슷한 사례로 지난해 금감원에 제기된 민원만 330건이 넘습니다.

[김용태 의원/국회 정무위(자유한국당) : 보험료 받을 때는 칼같이 받아가면서 온갖 예외규정을 들어 제대로 안 주는 것이 문제입니다. 금융감독원은 관련 규정을 명확히 해서 보험금 과소 지급하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해야 합니다.]

보험금 부지급 건수는 작년에 9만 4천여 건, 올해 상반기에만 4만여 건에 달합니다.

보험금 지급 관련 분쟁을 줄이려면 보험계약 약관부터 명확하게 손 봐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