멈춰선 일자리 엔진…김동연 "최저임금 인상 속도 조절"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이렇게 취업자가 급락한 데는 최저임금 인상 문제도 분명히 중요한 요인 가운데 하나입니다. 김동연 경제부총리는 최저임금 인상 속도 조절을 공식화하고 청와대와 협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미 10.9% 올리기로 결정된 내년 최저임금은 어쩔 수 없지만 대신 최저임금 결정제도를 개선해서 시장과 기업이 대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어서 화강윤 기자입니다.

<기자>

고용 악화의 주된 원인 중 하나는 조선, 자동차 등 주력 제조업의 부진입니다.

제조업 구조조정으로 이른바 '경제의 허리'로 일컬어지는 40대 취업자 숫자는 15만 8천 명 줄어들어 전 연령층 중 감소폭이 가장 컸습니다.

문제는 이런 제조업 부진으로만 최근의 고용악화를 설명하기는 부족하다는 점입니다.

[김현욱/KDI 경제전망실장 : 고용지표 위축에는 경기 요인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다른 요소들이 있는데, 여러 가지 정책적 요인들, 최저임금을 비롯한 (정책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자영업 부진은 말할 것도 없고 반도체, 석유화학 등 나 홀로 호조를 이어가는 수출업종의 고용 낙수 효과는 미미합니다.

김동연 부총리는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최저임금 정책의 속도 조절을 공식화했습니다.

[김동연/경제부총리 : 탄력근로제 단위기간 조정, 최저임금 인상 속도의 조절 등 시장에서 지속 제기되는 이슈들에 대한 합리적 대안을 만들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내년 최저임금은 이미 결정돼 바꿀 수 없지만 내후년에는 인상 폭을 억제하고, 최저임금 결정 방식도 손보겠다는 계획입니다.

결국 부총리의 발언은 고용문제를 비롯한 경제 현안을 올해 안에 호전시키기는 쉽지 않다는 사실을 인정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