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인도 접경에 날씨관측소 건설…분쟁 시 군사정보 활용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중국이 지난해 인도와 국경 문제로 대치한 지역 인근에 무인 기후 관측소를 건설해 인도가 긴장하고 있다.

인도는 이 시설이 해당 지역에서 향후 양국 간 군사 분쟁이 벌어질 경우 중국군에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인도 IANS통신은 17일(현지시간)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 등을 인용해 중국이 인도와 국경 지대인 티베트 산난(山南)지구에 최근 이 같은 시설을 설치했으며 앞으로 수를 늘려갈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이 관측소는 교통, 통신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여러 기후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특히 이런 정보는 이 지역에서 양국간에 실제 전투가 발생할 경우에 요긴하게 활용될 수 있다.

지역 날씨는 항공기 이착륙이나 미사일 발사 등에 매우 중요한 요소다.

IANS는 이 관측소는 국방 관련 기상정보 제공과 함께 지역 민군 통합에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시설 관리 책임자인 타스 노르부는 "관측소는 기온, 기압, 풍속, 풍향, 습도, 강수량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중국은 현재 인도가 통치하는 아루나찰프라데시 주 9만㎢를 자국 영토라고 주장하는 반면 인도는 중국이 통치하는 카슈미르 악사이친 지역 3만 8천㎢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인도와 중국은 국경문제로 1962년 전쟁까지 치렀지만, 지금까지 국경을 확정하지 못하고 3천488㎞에 이르는 실질통제선(LAC)을 설정해 사실상 국경으로 사용하고 있다.

광고 영역

양국은 2003년 국경선 획정을 위한 특사를 각각 임명하고 협상을 통해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공동노력을 하기로 합의했으나 갈등이 여전하다.

특히 지난해에는 인도 시킴-중국 티베트-부탄 3국 국경이 만나는 도클람에서 중국 인민해방군이 도로건설을 시작하자 인도가 중국 영토가 아니라고 항의하면서 수천 명의 양국 무장병력이 73일간 대치했다.

(연합뉴스/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