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병해충 방제지역 현장방문으로 산림협력 가시화


오프라인 대표 이미지 - SBS 뉴스

▲ 4일 오전 판문점 남측 평화의 집에서 열린 남북 산림협력 분과회담에서 우리측 수석대표인 류광수 산림청 차장(오른쪽 두번째)과 김성준 북한 국토환경보호성 산림총국 부총국장(왼쪽 두번째) 등 양측 대표단이 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남북이 4일 판문점 남측 평화의 집에서 열린 산림협력분과회담에서 병해충 방제지역에 대한 현장방문을 7월 중순에 진행하기로 하면서 산림협력의 구체적 진행방안이 가시화하고 있다.

남북은 이날 양묘장 현대화, 임농 복합경영, 산불방지 공동대응 등 산림 조성과 보호를 위한 협력문제들을 상호 협의하고 단계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북한이 최근 소나무재선충병 등 병해충 피해로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남북이 병해충 방제지역에 대한 현장방문을 진행하기로 합의함에 따라 남북 간 산림협력이 속도를 낼 전망이다.

남북 간 산림협력은 철도와 가스를 포함한 산업 및 사회간접자본시설(SOC) 관련 협력 등 여타 부문보다 상대적으로 대북제재에 저촉될 여지가 적고,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의욕을 보이는 분야여서 속도감 있게 추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 산림 병해충 피해 심각한 북한 산림

북한의 산림은 최근 방제 약제와 기술 부족 등으로 산림 병해충 피해가 늘고 있다.

2007년 북한 자료에 따르면 피해면적이 25만㏊에 달할 정도로 산림 병해충 피해가 심각하다.

1999년부터 2013년까지 산림 병해충 발생 실태를 보면 송충이 발생면적이 10배, 솔잎혹파리가 5배, 잣나무 잎벌 발생면적이 7배 증가하는 등 여러 병해충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했다.

최근 들어서는 소나무재선충병과 참나무시들음병 등 외래 병해충 피해도 발생하고 있다.

소나무재선충병은 2006년부터 강원도 통천지역과 평양시 일부 지역의 피해가 확인됐으며, 최근에는 평안북도 창성, 삭주지구에서도 피해가 확인됐다.

병해충 피해와 함께 황폐화가 급속하게 진행된다.

산림청 산하 국립산림과학원과 통일부 자료에 따르면 북한의 산림 면적은 전 국토의 73%에 해당하는 899만ha로, 2008년 기준 산림 면적의 32%에 해당하는 284만ha가 황폐화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 등에 따르면 북한의 임야는 김정은 국무위원장 집권 첫해인 2012년 541만ha에 달했지만 2013년 528만ha, 2014년 515만ha, 2015년 503만ha 등으로 감소한 것으로 추산된다.

해마다 평양시 면적과 비슷한 12만7천ha의 산림이 사라지고 있는 셈이다.

FAO는 1990년부터 2016년까지 25년간 북한 산림의 40%가량이 사라졌다며 뙈기밭 개간이나 벌목, 토양 침식이 산림 황폐화의 주원인이라고 분석했다.

녹색연합이 2006년부터 비무장지대(DMZ) 북방한계선 이북 북한 산림 황폐화 실상을 조사한 결과를 담은 '2018 북한 산림 황폐화 현장 실태 보고서'에 따르면 DMZ가 시작하는 경기 파주 임진강 맞은편 북한 지역(개성)은 나무도 숲도 없다.

개성시에서 일대의 수계가 모여 흐르는 사천강 주변의 여니산, 군장산, 천덕산은 모두 민둥산이다.

녹색연합 관계자는 "북한은 경제난과 에너지난으로 산림복구 정책이 미완에 그치고 산림의 과도한 이용으로 점점 더 황폐화했다"고 설명했다.

◇ 병해충 공동방제 넘어서 방제기술 전수까지

남북이 병해충 방제지역에 대한 공동조사에 착수하기로 하면서 구체적인 복원계획은 조사결과를 토대로 수립될 전망이다.

산림협력은 북측 시범지역에 묘목을 심는 데서부터 병해충을 방제하고 탄소흡수원 등록과 거래를 돕는 데까지 광범위하게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남북은 산림협력이 본격적으로 궤도에 오를 경우 우선 북측이 제공한 기초자료를 검토하게 된다.

이후 조림사업의 준비단계로 묘목 기르기(양묘) 작업에 착수하게 된다.

남북이 협의해 북한 땅에 심을 품종을 고르고 우수한 종자를 마련해야 한다.

묘목 심기는 북한 전역에서 동시다발로 개시하지 않고 일단은 시범지역에 국한해 추진한다.

양묘 시범지역으로는 남북 간 물자이동이 편리한 개성, 금강산, 평양 등이 거론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산림청은 대북 지원용 시설을 조성해 운영할 계획이다.

내년 완공을 목표로 강원 고성군에 3㏊ 규모의 대북 지원용 양묘장을 조성 중이며, 같은 지역에 대북 지원용 종자저장시설도 설치하기로 하고 내년 중 설계에 착수한다.

고성의 기후가 북한과 비슷한 편이어서 이곳에서 자란 묘목을 때가 되면 바로 북한으로 옮겨심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산림청은 양묘 작업과 관련해 화천 미래 숲 양묘 센터(생명의숲), 철원 통일 양묘장(아시아녹화기구) 등 민간의 참여도 염두에 두고 있다.

앞으로 남북은 주거지역 주변 산사태가 우려되는 곳에는 빨리 자라는 속성수를 심고, 미래에 목재 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경제림도 가꿀 예정이다.

산림청은 올해 2∼5월에 서울 남산 면적의 66배에 이르는 2만여㏊의 산림에 나무를 심었다.

앞으로는 북한 산림이 나무 심기의 주요 대상이 될 전망이다.

산림 병해충 방제기술 전수도 이른 시일 내에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외부와 정보교류가 원활하지 않아 외래침입 병해충에 대한 정확한 자료와 방제할 약제가 없어 기초적인 방제에만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15년에도 금강산 일대에 대규모 병해충이 발생해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진이 방북해 조사하고, 약제 등을 지원한 경험이 있다.

중장기적으로는 나무를 심거나 나무 제품을 이용하는 등의 활동을 탄소흡수 활동으로 인정받아 흡수한 탄소량을 계량화해 거래할 수 있도록 북한을 도울 수도 있다.

(연합뉴스/사진=통일부 제공, 연합뉴스)

댓글
댓글 표시하기
한반도 남북 관계 정세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