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마스크가 황사 마스크로 둔갑…엉터리 의료기기 무더기 적발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 황사마스크로 둔갑한 일반마스크

일반 마스크를 황사 방지용 마스크로 둔갑시켜 파는 등 엉터리 의료기기·화장품을 제조해 판매한 67명이 무더기 적발됐습니다.

서울시 민생사법경찰단은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받지 않아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은 일반 마스크에 '식약처 인증', '질병 감염·악취·호흡기 보호' 등의 표기해 판매한 혐의로 A씨를 형사 입건했다고 밝혔습니다.

A씨는 이 마스크를 시내 주요약국에 1만112개나 판매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민생사법경찰단은 식약처에서 수사를 의뢰받아 A씨 같은 엉터리 의료기기와 화장품 제조·판매업자 67명을 형사 입건했습니다.

의료기기나 화장품을 제조·판매·수입하려면 식약처에 제조허가·등록을 해야 하며 제품을 만들 때는 식약처 허가를 받거나 신고해야 합니다.

그러나 이번에 덜미가 잡힌 이들은 모두 식약처 허가·인증을 받지 않거나 허위광고로 소비자를 현혹했습니다.

특히 의료기기로 분류되는 코 세정기, 코골이 방지용 제품, 시력 보정용 안경을 일반 공산품으로 무허가 제조·수입한 사례가 많았습니다.

광고 영역

B씨 등 2명은 코골이 방지 제품을 중국·일본에서 공산품으로 수입해 인터넷 쇼핑몰에서 1천200개를 팔았습니다.

'비강 확장밴드', '코골이 스토퍼' 등 의료기기 효능이 있는 것처럼 광고해 판매했습니다.

C씨는 일본에서 시력 보정용 안경을 신고하지 않고 들여와 좌우 시력이 다른 사용자에게 효과가 있는 것처럼 광고하며 1억8천만 원어치를 판매했습니다.

유병홍 서울시 민생수사2반장은 "식약처와 공조해 불법으로 의료기기나 화장품을 제조·판매하거나 소비자를 기만하는 거짓 광고·위반 업소 수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서울시 제공/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