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의 장 되고 있지만…투잡 뛰는 '동네 책방' 대표들


오프라인 - SBS 뉴스
대표가자기 월급도 못 받는 이유
오프라인 - SBS 뉴스
고양이를 테마로 한고양이 전문 책방 ‘슈뢰딩거’
오프라인 - SBS 뉴스
단순히 고양이 관련 책을 파는 것 외에도영화 상영회나 사진전, 수채화 강좌 등여러 인문 프로그램이 열립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이렇게 개성 강한 동네 책방이등장하기 시작한 건 불과 몇 년 전의 일입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대형 서점이 모두 장악한 출판시장에서동네 책방이 돌파구를 찾은 것입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하지만, 낭만적으로 보이는 것과는 달리동네 책방의 현실은 녹록지 않습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서적 판매만으로는 수익이 부족해책방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음료나 굿즈 판매를 겸하고 있고,심지어 ‘투잡’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외부 기획이나 강연, 초청 워크숍 같은 걸다 합쳤기 때문에 유지가 됐던 거지.책만 팔아서는 제 월급도 못 가져가요.”- 김종원 / 동네 책방 ‘51페이지’ 전 대표
오프라인 - SBS 뉴스
책방을 넘어 소통의 장이 돼준 동네 책방.한 순간의 유행으로 사라지기엔너무 아쉽지 않을까요?

고양이 관련 서적과 굿즈로 가득한 고양이 책방부터 커피나 맥주를 마시면서 책을 읽을 수 있는 책방까지…

개성을 살린 동네 책방은 일주일에 한 개꼴로 생겨나고 있습니다.

낭만적으로 보이지만, 동네 책방의 현실은 녹록지 않습니다.

책 판매만으로 책방을 유지할 수 없어 투잡이나 아르바이트를 병행합니다.

운영이 어려워 폐점이나 휴점을 하는 동네 책방이 적지 않습니다.

기획 하현종/ 글·구성 권재경, 배혜민 인턴, 김지영 인턴/ 그래픽 김민정

(SBS 스브스뉴스)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