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성장·실적 호조에도 보합…다우 0.05% 하락 마감


대표 이미지 - SBS 뉴스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아마존 등 주요 기업 실적이 큰 폭 개선되고, 미국의 1분기 성장률이 예상보다 양호했음에도 보합세로 마감했습니다.

27일(미국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1.15포인트(0.05%) 하락한 24,311.19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2.97포인트(0.11%) 오른 2,669.91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12포인트(0.02%) 상승한 7119.80에 장을 마감했습니다.

시장 참가자들은 아마존 등 주요 기업 실적과 남북 정상회담에 따른 북한 지정학적 위험의 완화, 미국 1분기 성장률 등을 주목했습니다.

주요 지수는 기업 실적 호조와 지정학적 위험 완화 등을 반영해 장 초반에는 오름세로 출발했습니다.

아마존의 1분기 순익은 1년 전보다 두 배 이상 많은 16억 달러, 주당순이익(EPS)은 3.27달러에 달했습니다.

EPS는 팩트셋의 예상치 1.24달러보다 거의 세 배 높았습니다.

이에 따라 주가가 장 초반 7% 이상 올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급등하면서 기술주 전체에 활력을 불어넣었습니다.

전일 예상보다 나은 실적을 발표한 마이크로소프트(MS) 주가도 오름세를 탔습니다.

남·북 정상회담에 따른 한반도 지정학적 위험 완화도 투자심리에 도움을 줬습니다.

광고 영역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이날 자신의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한국전쟁이 끝날 것이다"라며 "미국과 모든 위대한 미국인은 한국에서 일어나는 상황을 매우 자랑스러워 해야 한다"고 종전 선언을 지지했습니다.

미국의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속보치(계절 조정치)도 연율 2.3%에 달해 월스트리트저널(WSJ) 예상치 1.8% 증가보다 좋았지만, 지난 4분기 2.9%보다는 다소 둔화했습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실적 호조에 따른 주가 상승의 지속성이 크지 않다면서 금리 흐름 등에 꾸준히 영향을 받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뉴턴 자산운용사의 존 데이 채권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주식 시장 가격은 매우 높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낮은 정책 금리에 따른 풍부한 유동성 투입 상황에서 형성된 것"이라며 "유동성이 되돌려지기 시작하면 가격도 다시 책정되는 것을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