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휴 기간 중에도 특히 교통사고 많이 나는 날이 있다?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매주 화요일 경제부 정경윤 기자와 경제 뉴스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네 안녕하세요.) 이제 설 연휴 이틀 남았는데 연휴 기간 중에도 특히 교통사고가 가장 많이 나는 날이 있다고요?

<기자>

네, 손해보험협회에서 지난 3년간 설 연휴 기간 교통사고 발생 현황을 따져봤는데요. 설 연휴 전날, 그러니까 사실상 귀성 첫날에 사고 건수가 가장 많았습니다.

이번 설 연휴로 보자면 통계상 14일, 그러니까 내일인 셈이죠. 평소에는 교통사고가 하루 평균 2천 7백 건 정도 발생하는데, 이날은 3천 7백 건으로 평소보다 38% 많이 발생하는 겁니다.

다행히 이날 이후로 설 연휴 기간인 사흘 동안은 사고 건수가 평소보다 적습니다.

그런데 부상자 통계를 보면요, 평소에는 교통사고 부상자가 하루 평균 4천 1백여 명인데, 설 당일에는 6천 5백여 명으로 크게 늘어납니다. 성묘를 하러 가거나 친척 집에 인사하러 갈 때 차 한 대에 가족들이 함께 타다 보니 부상자가 많이 발생하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사망자가 발생한 사고를 보면 오후 6시부터 8시 사이, 그러니까 장시간 운전에 피로가 쌓이는 시간에 집중됐는데요, 졸음 쉼터를 충분히 활용해서 사고를 예방하는 게 우선이고요, 출발 전날까지 단기 운전자 확대특약에 가입하면 다른 운전자와 교대해도 사고가 날 경우에 보상받을 수 있으니까 잘 활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앵커>

지난해 추석 연휴에 인천공항 이용객이 역대 최다였었잖아요? 이번 설 연휴에도 패키지 여행 예약률도 높고, 출국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하던데요?

<기자>

네, 지난해 추석 연휴 기간에 하루 평균 이용객이 18만 7천 명이었는데, 이번 설 연휴에도 그 정도로 많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설 연휴 하루 전날인 14일에는 출국하는 사람이 9만 8천 명으로 가장 많을 것으로 예상되고요, 마지막 날인 18일에는 입국, 출국장 합쳐서 20만 명을 넘길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가장 붐빌 것 같습니다.

이렇게 사람들이 몰릴 때는 평소보다 공항에 일찍 도착해서 공항 구경하는 게 훨씬 낫습니다. 국내 항공사 체크인 카운터도 원래 새벽 6시 넘어서 문을 열었는데, 새벽 5시 40분으로 앞당길 예정입니다. 공항철도나 리무진 버스도 연장 운행하고, 공항 안에 들어온 음식점들도 영업 시간을 늘릴 계획이라고 합니다.

그나마 좀 다행인 건 지난달에 제2터미널이 개장해서 이용객이 좀 분산될 텐데요, 어느 터미널에서 출국하는지 한 번 더 확인하시고요, 출입국 자동화 서비스에 미리 등록해 놓으면 출국 시간을 조금 더 줄일 수 있습니다.

<앵커>

네. 제2터미널 헷갈리지 않게 주의하셔야 될 것 같고요. 그런데 국내 대형 면세점이죠, 롯데면세점이 인천공항에서 매장문을 닫기로 했다는데, 이게 무슨 얘기인가요?

<기자>

네, 임대료 때문인데요. 철수설은 예전부터 나왔고 오늘 철수하겠다고 공식적으로 발표를 낸 것입니다. 현재 인천공항 제1터미널에 가장 넓은 매장을 운영하고 있는 롯데면세점이 공항에 내는 임대료가 너무 비싸다면서 협상을 벌여왔는데요, 이게 잘 안 된 겁니다.

롯데면세점은 2001년부터 공항에서 영업을 해왔는데, 지난 2015년부터 2020년까지 4조 1천억 원에 임대료 계약을 맺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후에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중국인 관광객들이 끊기면서 실적이 크게 떨어졌고, 또 서울 시내 면세점이 늘어나면서 사업 환경은 안 좋아졌는데, 오프라인 매장의 매출은 줄면서 임대료가 너무 부담이 된 겁니다. 이 상태로 2020년까지 영업을 계속하면 적자만 1조 4천억 원이 예상된다고 합니다.

게다가 제2터미널에도 면세점 매장을 열었으니 임대료를 낮춰달라고 공항에 요청한 건데, 이 협상이 잘 안 된 겁니다.

롯데면세점은 제1터미널 4개 구역 중에서 주류, 담배 사업장만 남기고 다른 구역 매장은 빼기로 했고요, 다음 달 공항에서 승인받으면 상반기 안에 완전히 철수하게 됩니다. 공항 면세점에서 일하던 직원들은 제2터미널이나 서울 시내점으로 근무지를 옮길 예정이라고 합니다.

오늘도 특히나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구속 소식에 굉장히 혼란스러운 상황이라고 합니다.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