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규정 피하려 위장 분리…참사 뒤 드러난 인력 문제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화재 참사로 무려 39명이 목숨을 잃은 밀양 세종병원은 조사 결과 총체적인 문제를 안고 있었습니다. 병원을 서류상으로 둘로 쪼개 소방안전규정을 모조리 피해 나갔습니다. 또 의료 인력도 규정보다 너무 적어서 비상상황에 대처할 인력이 턱없이 모자랐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한상우 기자입니다.

<기자>

세종병원은 일반 병원과 요양병원 둘로 나뉘어 있습니다. 2008년 4월까지만 해도 지금의 요양병원은 세종병원 별관으로 사용됐지만, 두 달 뒤에 두 병원으로 분리한 것으로 신고했습니다.

[김영호/밀양시 건강증진과장 : 요양병원을 세종병원으로 (2008년) 4월 10일 확대하다가 다시 세종요양병원으로 개설 허가를 하게 됐습니다.]

이렇게 둘로 나눔으로써 옥내 소화전과 간이 스프링클러 설치 의무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었습니다.

또 요양 병원은 불편한 환자가 많아 안전 기준이 까다로운데, 둘로 가름으로써 세종병원은 매년 실시하는 민관합동 전수 조사 대상에서도 빠질 수 있었습니다.

대신 해마다 자체적으로 실시한 안전진단 결과만 밀양시에 내면 됐는데, 의료법과 소방 등 5개 분야에서 모두 문제가 없다고 보고했습니다.

두 병원으로 분리된 양 행세했지만 실제로는 요양병원 환자들을 일반 병원 5층 병실에도 수용하는 등 한 병원이었습니다. 8명이나 숨졌던 바로 그 병실입니다.

이뿐 아니라 의료법도 어긴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세종병원에는 6명의 의사가 있어야 하지만 2명에 불과했고, 간호사도 35명을 둬야 하는데 고작 6명뿐이었습니다.

이번 경우처럼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에 대처할 인원이 턱없이 부족했던 겁니다.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