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주자 5인, '북핵 책임'·'일자리 정책' 놓고 설전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북핵 문제를 놓고는 앞으로 어떻게 해결을 할지 보다 과거 어떤 정부 책임인가가 더 큰 논쟁거리였습니다. 일자리를 만드는 방법을 놓고도 시각차이가 컸습니다.

이어서 정영태 기자입니다.

<기자>

북핵과 미사일 고도화의 책임이 과연 누구에게 있느냐 문재인 후보는 이명박-박근혜 정권 책임론을 제기하며 안보 무능 정권으로 규정했습니다.

[문재인/더불어민주당 후보 : 홍준표 후보, 유승민 후보는 안보를 말할 자격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가짜 안보세력이라고…]

반면 홍준표 후보는 김대중-노무현 정부의 대북 지원이 핵개발 자금이 됐다고 강조했습니다.

[홍준표/자유한국당 후보 : 지금의 북핵 위기는 DJ-노무현 정권 때 70억 달러 이상 북에 돈을 퍼주었기 때문이다.]

안철수 후보는 여야 모두 책임이 있다며 문재인, 홍준표, 유승민 세 후보가 지난 정부에서 책임 있는 위치에 있지 않았냐고 비판했습니다.

[안철수/국민의당 후보 : (북핵 문제는) 여기 계신 분들이 정말로 중요한 자리에 계실 때, 계속 지속적으로 악화 돼 왔습니다.]

유승민 후보도 김대중-노무현 정부 책임론을 제기했고, 사드 배치에 반대해선 북핵을 막을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유승민/바른정당 후보 : 핵 미사일이 실전배치 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그러셨잖아요. 그러면 사드 왜 반대합니까.]

심상정 후보는 보수정권이 안보를 정권 안위에 이용하면서 정작 방산 비리는 방조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심상정/정의당 후보 : 방산과 관련된 비리야말로 반국가적 행위입니다. 그런 사람들이 바로 종북세력인 거예요.]

일자리 정책을 놓고 문재인, 심상정 후보는 공공부문 일자리 확대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 역할에 방점을 뒀습니다.

반면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후보는 일자리는 기본적으로 민간기업이 늘리는 거라며 반대 의사를 밝혔습니다.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