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 보고서 외면…국토부, 현대차 '리콜 축소' 의혹


동영상 표시하기

현대자동차가 결함 논란이 계속된 세타2 엔진 차량 17만여 대를 리콜한다고 최근 밝혔죠. 그런데 앞서 주무부서인 국토부는 이보다 5만여 대가 많은 22만 대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내부 보고서를 작성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박수진 기자의 단독보도입니다.

<기자>

국토교통부가 지난해 10월부터 조사한 현대기아차 세타2 엔진 제작 결함에 대한 보고서입니다.

결함 가능성이 있어 조사가 필요하다고 본 차량은 5개 차종, 22만 4천여 대에 달합니다.

현대차가 지난 6일 발표한 리콜 계획 17만 대보다 5만여 대가 더 많습니다.

현대차는 국내 리콜 대상을 2009년부터 2013년 8월까지 생산된 차량으로 한정했지만, 국토부는 북미지역의 리콜 대상과 마찬가지로 2015년까지 생산된 차량에 대해 조사가 필요하다고 본 겁니다.

국토부 보고서에는 미국과 국내에서 발생한 차량 시동꺼짐현상은 동일한 원인이라고 적혀 있습니다.

[국토부 관계자 : 우리는 원인을 보는 데가 아니고 증상을 보는 곳이거든요. 증상은 우리는 같다고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대차는 북미 지역과 국내에서 발생한 차량 결함은 서로 다른 원인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광고 영역

[이현섭/현대자동차 홍보팀장 : 미국에서 리콜했던 사항들은 공장 전반적인 청정도 문제에서 발생됐던 사항들이고요. 이번 국내에서 실시하는 리콜에 관련된 부분들은 가공 과정에서 오일홀 쪽에 이물질이 남아 있는 부분들이 깨끗하게 정리가 안돼서 (생긴 문제입니다.)]

국토부는 결국 현대차의 계획대로 17만여 대 리콜을 그대로 승인했습니다.

[박용진/더불어민주당 의원 : 현대차가 국민과 소비자의 안전을 무시하고 눈속임해 온 정황이 드러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토부가 현대차 봐주기로 일관 하는 것은 직무유기….]

국토부는 현대차의 리콜 계획에 대한 적정성 검토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박현철·최준식, 영상편집 : 정용화)

(SBS 비디오머그)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