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장비 추가 동원"…휴대전화 등 유류품 79점 발견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목포신항에 정박중인 세월호는 선체에 19개의 구멍을 뚫었지만 물을 빼는데 실패해 정부는 이동용 특수장비를 추가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세월호에서 흘러나온 펄에서는 지금까지 모두 79점의 유류품이 발견됐는데, 휴대전화가 특히 눈에 띕니다.

원종진 기자입니다.

<기자>

해수부는 어제(3일) 저녁까지 세월호 선체 왼쪽 화물칸 부문에 지름 7센티미터의 구멍 19개를 뚫었습니다. 배수작업을 도와 세월호 무게를 줄이기 위해서입니다.

하지만 선체 안의 진흙이 단단히 굳어있어 계획대로 무게를 줄이는 데 실패했습니다. 이에 따라 해수부는 세월호를 들어올릴 특수장비, 모듈 트랜스포터 24대를 추가로 동원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김창준/세월호 선체조사위 위원장 : (물이) 나오지 않더라도 대안은 있습니다. 모듈 트랜스포터 24개를 추가하면 (줄이지 못한) 600톤을 맞출 수 있다고 합니다.]

선체 무게를 당초 예상만큼 줄이지 못하는 상황에서 파도가 잔잔한 이번 소조기 안에 선체를 뭍으로 옮기기 위해섭니다. 이번 소조기 안에 세월호를 옮기지 못하면 다음 소조기까지 보름을 더 기다려야 합니다.

세월호 아래 펄을 치우는 작업은 순조롭게 진행돼 거의 마무리 됐습니다.

어제까지 펄 제거 과정에서 휴대전화와 넥타이, 스웨터 등 모두 79점의 유류품이 나왔습니다. 해수부는 세척과 건조 등의 과정을 거쳐 이들 유류품의 주인을 찾을 예정입니다.

내일부터는 세월호 침몰 해역에 대한 본격적인 수중 수색 작업을 시작할 계획입니다.

댓글
댓글 표시하기
세월호 참사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