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병세 "北화학무기 위협 현실화…특단 조처 필요"


오프라인 대표 이미지 - SBS 뉴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군축회의에서 북한 화학무기 위협이 현실이 됐다며, 유엔 회원국 자격 정지 등 단호한 대응을 촉구했습니다.

윤 장관은 어제(27일) 개막한 유엔인권이사회 고위급 회기 기조연설에서도 북한 정권의 김정남 암살을 비판하면서 국제형사재판소에 김정은 정권 제소를 추진해야 한다고 하는 등 연이틀 국제사회에서 북한을 압박했습니다.

윤 장관은 CD 기조연설에서 "(김정남 암살은) 충동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데다 잔인한 북한 정권이 언제 어디서든 그 누구에게도 화학무기 공격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면서 "국제사회가 어떤 조처를 해야 할지 심각하게 고민할 때다"라고 말했습니다.

또 김정남 피살이 북한의 화학무기 능력과 실전 사용 가능성을 국제사회가 다시 인식하게 했다며 사건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북한이 김정남 살해에 사용한 VX 신경작용제를 포함해 화학무기 수천t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도 언급했습니다.

윤 장관은 특단의 조처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2321호에 따라 북한의 유엔 회원국 자격 및 특권을 정지시켜야 한다고 촉구하면서 말레이시아 정부 수사 결과로 김정남 암살에 북한 정권 개입이 드러나면 유엔 안보리 회부, CD 회원국 자격 재검토 등도 함께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윤 장관은 전 세계 유일의 다자 군축협상 포럼인 CD가 규범설정자로서 제 기능을 하려면 '규범파괴자'인 북한이 회의장에 앉지 못하도록 무관용의 자세로 강력하게 맞서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은 작년 2차례 핵실험, 24번의 탄도미사일 발사 등 최소 26차례 안보리 결의를 위반했고 핵확산금지조약,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 등 국제 규범을 무시해왔습니다.

윤 장관은 지난해에 이어 다시 제네바 군축회의에 참석했으며, 외교부 장관이 2년 연속 군축회의에서 발언한 것은 처음입니다.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