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발생 안 한 육계도 불똥…닭고깃값 급등할 듯


오프라인 대표 이미지 - SBS 뉴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확산하면서 'AI 발생 제로'를 기록 중인 육계(식용 닭)에도 불똥이 튀고 있다고 연합뉴스가 전했습니다.

시중에 유통되는 닭고기는 AI 감염 가능성이 희박한데도 소비가 크게 위축된 데다 방역조치 여파로 농가 절반이 병아리 입식을 못 해 공급량이 부족할 전망입니다.

이 때문에 당장은 소비가 줄어 가격이 다소 내려갔지만, 계란에 이어 닭고기 가격도 급등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육계협회에 따르면 AI 여파로 전국 1천500여 개 육계 농가 가운데 절반 정도가 신규 병아리 입식을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AI 발생 농가를 거점으로 반경 10㎞가 방역대로 설정되는데, 이렇게 되면 방역대 내 모든 가금류 농가의 신규 병아리 입식이 금지되기 때문입니다.

육계의 경우 발생 36일째인 21일 현재 경기 이천과 충북 청주의 육계 농가 2곳에서 AI 양성 반응이 나왔을 뿐, 발생 농가는 단 한 군데도 없습니다.

예방 차원에서 도살 처분된 마릿수도 전체 닭 도살처분 규모의 3%밖에 안 됩니다.

수시로 농장에 드나들며 알을 수거해야 하는 산란계 농가와 달리 육계 농가는 병아리를 입식한 뒤 양계장 내에서 한 달간 사육되다 바로 도축되기 때문에 바이러스 침투가 어려운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육계 대부분이 계열화돼 있어 농가 방역 시설이 현대화돼 있는 점 등도 AI가 비켜간 요인으로 꼽힙니다.

하지만 AI가 산란계(알 낳는 닭) 및 오리 농가를 중심으로 사실상 전국으로 퍼지는 바람에 발생 농가 주변에 있는 육계 농가들까지 방역대로 묶이면서 정상적인 사육이 불가능한 상황에 부닥친 것입니다.

입식에서 도계 출하까지 약 한 달이 걸리는 점을 고려하면 당장 다음 달부터 시장에 출하되는 신선육 물량이 최대 절반 가까이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AI가 산발적으로 계속 확산해 방역대 및 도살처분 피해가 늘어나게 되면 공급량은 이보다 더 감소할 여지도 있습니다.

계란 가격에 이어 닭고기 가격도 폭등할 가능성이 있는 것입니다.

이럴 경우 일반 소비자들은 물론 치킨집 등 닭고기를 취급하는 외식업소까지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게다가 AI가 육계 농가에선 발생하지 않았는데도 닭고기 먹기를 꺼리는 사람들이 늘면서 소비까지 급감하고 있어 농가들이 이중고를 겪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지난달 21일부터 이달 20일까지 한 달간 이마트의 닭고기 매출은 전월 대비 23.3%하락했습니다.

이마트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유통점에서의 닭고기 판매는 20%가량 떨어진 것으로 육계협회는 파악하고 있습니다.

김수용 육계협회 홍보팀 과장은 "육계 농가들은 육가공 기업으로부터 병아리 등 원자재를 지원받아 사육한 뒤 닭을 출하하면 해당 기업으로부터 출하량만큼 수수료를 받아 소득을 올리고 있는 구조"라며 "방역조치 여파로 병아리 입식을 못 하게 되면 그만큼 출하량이 줄게 되니 농가들이 받는 수수료도 줄어들게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가격이 폭등하면 농가들은 이득을 볼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팔 수 있는 물량 자체가 적으니 소득 증대엔 도움이 안 된다"며 "닭고기 소비가 지금보다 더 줄게 되면 오히려 피해는 눈덩이처럼 불어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농촌진흥청은 "현재 우리나라는 고병원성 AI가 발생한 농장과 위험지역 내 닭·오리뿐 아니라 번식용 및 식용 알까지 이동을 통제하기 때문에 감염된 고기나 식용란이 유통될 우려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또 "설령 AI 바이러스에 감염된 고기라도 70℃에서 30분, 75℃에서 5분간 열처리 시 바이러스가 모두 사멸된다"며 "현재까지 닭고기 등을 섭취해서 감염된 사례는 전혀 없었다"고 설명했습니다.

농진청은 가금류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본청 및 4개 소속기관 구내식당에서 월 4천300㎏ 상당의 가금류를 소비할 수 있도록 식단에 반영하기로 했습니다.

농협중앙회도 매주 수요일을 '닭고기 먹는 날'로 지정하고 전국 농협계통사무소를 대상으로 다양한 소비 촉진 행사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댓글
댓글 표시하기
조류인플루엔자 다시 확산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