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중독 심각…과의존위험군 4년간 2배 급증


오프라인 대표 이미지 - SBS 뉴스

스마트폰 중독 위험이 있는 '과의존 위험군'이 4년간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스마트폰 중독은 저소득 가구의 성인·청소년, 고소득 가구의 유아·아동에 상대적으로 집중됐습니다.

고소득층의 부채보유가구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지만 상환부담은 대출금리가 높은 저소득층이 더 큰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통계청이 오늘(12일)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을 보면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은 2011년 8.4%에서 2015년 16.2%로 2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스마트폰 과의존은 '스마트폰을 과다 사용해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금단과 내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일상생활의 장애가 유발되는 상태'를 뜻합니다.

성별 추이를 보면 2013년에는 남성 12.5%, 여성 11.2%였지만 2015년 남성 16.0%, 여성 16.5%로 여성의 과의존 위험군 비율이 더 빠른 속도로 높아진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성인과 청소년은 200만원 미만 소득집단의 과의존 위험 비율이 높았으며 유아·아동은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위험 비율이 높았습니다.

직업별로는 학생과 무직자의 과의존 위험군 비율이 높았다.

전반적으로 2015년 과의존 위험군 비율이 전년보다 상승한 가운데 농림어업 종사자는 유일하게 비율이 낮아졌습니다.

스마트폰 과의존의 어려움으로 청소년이 내성 현상을 가장 많이 경험하고 있었습니다.

스마트폰 사용 시간은 4시간 미만까지는 일반 사용자군의 사용 비율이 높고 그 이상은 과의존 위험군의 사용 비율이 높았습니다.

가상세계지향, 금단 등 스마트폰의 과다한 사용으로 어려움을 느낀 비율은 성인(65.1%), 청소년(60.8%), 유아·아동(44.1%) 순으로 컸습니다.

성인의 주중 5일 평균 여가시간은 1999년 314분에서 2014년 292분으로 줄었습니다.

반면 주말에는 유급노동 시간이 줄면서 여가시간과 개인유지를 위한 필수시간이 늘어났습니다.

적절한 여가시간을 확보하지 못한 주중 시간빈곤 인구 비율은 1999년 32.4%에서 2014년 36.1%로 3.7%포인트 증가했습니다.

취업자 집단으로 한정해 성별로 살펴보면 2014년 기준 여성은 53.5%, 남성은 45.2%가 시간빈곤을 겪었습니다.

기혼 취업자이면서 자녀를 둔 집단의 시간빈곤 비율은 남녀 모두 6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문화예술 공연을 최소한 한 번이라도 관람한 적이 있는 인구를 나타내는 문화예술 관람률은 63.9%로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영화관람률만 4.4%포인트 상승하고 다른 장르의 관람률은 상승 폭이 미미하거나 오히려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