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제 정국의 해법은 여당의 내년 4월 퇴진론과 야당의 12월 탄핵론으로 좁혀져가고 있습니다. 문제는 대선을 언제 치를 것인가 하는 것인데, 당별로 그리고 계파별로 이해관계가 복잡합니다.
그 복잡한 이해관계를 김정인 기자가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내년 4월에 퇴진할 경우, 조기 대선은 60일 뒤인 6월에 실시 됩니다.
퇴진 시점과 대선 날짜가 확정돼 예측 가능하다는 점에서 질서 있는 퇴진으로 불립니다.
[김무성/새누리당 전 대표 : 내년 4월 말 대통령의 퇴임이 결정되면 굳이 탄핵을 가지 않고…]
탄핵은 이번 달 초에 통과해도 헌법재판소 결정이 언제 나올지 몰라 퇴진과 대선 시기 모두 불확실합니다.
하지만 헌재 결정이 일찍 나와 4월 퇴진보다 퇴진 시점을 앞당긴다면 촛불민심에 더 부합한다고 민주당은 말합니다.
[추미애/더불어민주당 대표 : 법적으로 대통령의 사퇴는 늦어도 1월 말까지 이뤄져야 된다.]
여야의 정국 해법은 대선 시기를 둘러싼 셈법과 맞닿아 있습니다.
민주당, 특히 문재인 전 대표에겐 대선을 빨리 치를수록 유리할 거란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지지율 1위인 문 전 대표에게, 시간은 다른 대선주자들이 부상할 기회이기도 합니다.
반면 여당은 당 쇄신과 지지층 결집을 위한 시간을 벌어야 합니다.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을 끌어와도 대선 후보로 갖추려면, 족히 수개월은 필요합니다.
대선을 적어도 내년 봄 이후로 늦춰야 하는 이유입니다.
현재 판도를 흔들기를 원하는 국민의당도 비슷합니다.
새누리당 비박계를 포함해 연합세력 구축을 시도할 수 있는데, 최소 몇 달은 걸릴 겁니다.
이런 복잡한 셈법들이 여야의 협상을 꼬이게 하고 대통령의 노림수도 여기에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영상취재 : 주용진, 영상편집 : 박정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