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세점 선정 특혜 의혹' 롯데·SK그룹 압수수색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최순실 국정개입 사건을 수사하는 검찰이 롯데그룹과 SK 그룹을 압수수색했습니다. 면세점 선정 과정에 비선실세 최순실과 청와대의 개입이 있었다는 의혹을 확인하기 위해서입니다. 검찰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이한석 기자. (네, 서울중앙지검에 나와 있습니다.) 지금 압수수색이 진행 중인 거죠?

<기자>

네, 압수수색 대상은 롯데그룹 정책본부와 SK 스펙스추구협의회 사무실 등 10여 곳입니다.

두 기업이 면세점에 선정 될 때 비선실세 최순실 씨와 청와대가 개입했다는 의혹을 확인하기 위한 수사입니다.

두 기업이 미르와 더케이스포츠재단에 출연금을 낸 대가가 면세점 선정 대가는 아니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차원으로 보시면 됩니다.

특히 롯데는 이미 기존에 낸 출연금 이외에 70억 원을 더 냈다가 돌려받았고 SK는 80억 원 규모의 추가 지원을 논의하기도 했습니다.

준조세에 가깝다면서 볼멘소리를 하던 대기업들 그동안 줄곧 정부 권력의 강압에 마지못해 돈을 낸 피해자라는 입장이었는데 검찰은 아닐수도 있다.

재단 모금이 면세점 선정의 대가라고도 의심하고 있습니다.

광고 영역

<앵커>

문형표 전 장관도 검찰에 출석했는데 이유가 어떤 건가요?

<기자>

검찰이 어제 삼성그룹과 국민연금을 또 압수수색했습니다.

삼성 합병 과정에 청와대의 개입이 없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인데요, 문 전 장관은 국민연금이 삼성 합병에 찬성표를 던질때 주무부처였죠, 보건복지부 장관이었습니다.

검찰은 일단 문 전 장관의 역할을 확인하려고 합니다.

국민연금이 의결권 행사를 할때는 보통 외부 전문가들로 구성된 위원회의 검토, 그리고 의결이 필요한 데 삼성 합병 당시에는 이 과정이 무시됐습니다.

이때 문 전 장관이 국민연금에 외압을 행사한 것인지, 아니면 청와대의 지시나 삼성 측과의 모종의 교감이 있었는지 확인해 보겠다는 겁니다.

앞서 검찰은 어제 삼성 합병 찬성표를 던지라고 직접 결정했던 홍완선 전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장도 불러 조사했습니다.

문 전 장관은 조사 결과에 따라서 피의자 신분으로 바뀔 수도 있습니다.

최순실 씨와 또 청와대가 개입한 정황이 드러나면 삼성이 최순실 일가에 건넨 51억 원은 뇌물 혐의가 적용될 수도 있습니다.

<앵커>

그리고 조원동 경제수석의 구속영장은 기각됐군요?

<기자>

네, 서울중앙지법은 조원동 전 청와대 경제수석의 통화 녹음파일과 그리고 객관적인 증거, 조 전 수석의 주장을 종합해보면 구속해야 하는 이유나 필요성 아직은 인정하기 어렵다고 이렇게 밝혔습니다.

앞서 검찰이 적용한 혐의는 일단 하나입니다.

2013년 말에 조 전 수석이 손경식 당시 CJ그룹 회장에게 전화를 합니다.

그래서 대통령의 뜻이라면서 이 부회장의 퇴진을 요구한 혐의입니다.

법원의 영장 기각으로 검찰이 좀 바빠지게 됐습니다.

조 전 수석이 박근혜 대통령의 지시로 퇴진 압력을 행사했다고 검찰에서 진술 한게 있고요, 또 박 대통령의 추가혐의와 무관치 않기 때문에, 그런데 검찰은 특검을 앞두고 있기 때문에 수사기간이 길지가 않은 상황입니다.

광고 영역

검찰은 조 전 수석이 포스코 권오준 회장 선임과정에도 관여했다는 혐의를 추가로 수사해서 구속영장을 다시 청구할 방침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국정농단 사건 재판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