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전문가 "원전 많은 영남에 고해상도 지진망 갖춰야"


오프라인 대표 이미지 - SBS 뉴스

경주에서 일어난 한반도 최대 규모의 지진 이후 우리나라에도 촘촘한 지진계 네트워크를 갖춰야 한다는 전문가의 지적이 나왔다.

지진 전문가인 이진한 고려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는 27일 연합뉴스 통화에서 "경주 지진도 진앙지, 진원지에 대해 기상청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분석이 달랐는데 정확히 지진을 분석하기 위해 진앙지 가까이에 지진계가 있어야 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기상청은 초기 전진과 본진의 위치를 경주 남남서쪽 9km, 남남서쪽 8km라고 밝혔다가 열흘 뒤 본진이 전진보다 남쪽으로 수백 미터 떨어진 곳에서 발생했다고 수정한 바 있다.

이 교수는 일본의 마이크로 지진파 감지 장비인 하이넷(Hi-Net: High Sensitivity Seismograph Network Japan)을 사례로 들며 우리도 이같은 지진망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본은 1995년 고베지진 이후 암반에 시추공을 뚫고 지진계를 심어놓는 방식으로 고해상도 지진계를 전 국토에 구축하고 지질 변화를 탐지하고 있다.

이 교수는 "일본에서 이같은 시스템을 구축한 이후로 대만, 뉴질랜드 등에서도 따라하기 시작했다"며 "우리나라도 양산단층과 인접해있고 원전이 많은 영남만이라도 이런 지진망을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더해 하루빨리 원전 부근 지역의 단층조사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 교수는 "경주 지진과 여진이 계속 나는데 과연 양산단층을 따라서 지진이 발생한 것인지 인근에 모르는 단층이 있는 것인지 자세히 모르는 상황"이라며 "일단은 양산단층을 따라서 난 것인지를 파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양산단층에 일어났으면 활성도가 어느 정도 되는지, 어떤 주기로 재발하는지, 최대규모는 어떻게 되는지가 나와야 원전이 안전한지를 알 수 있다"며 "이번 지진이 난 단층을 시추해 조사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른 전문가들도 시스템적 보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내놨다.

이달 23일 새누리당 정종섭 의원 주최로 열린 '지진 안전, 이대로 괜찮은가' 전문가 간담회에 참석한 황일순 서울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는 "빅데이터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다"며 "큰 예산이 필요한 프로젝트이므로 11월 초 열리는'국가과학기술전략과제'에 선정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성자 한국지질연구원 박사는 "원전문제 해결을 위해 원자력안전연구원에서 독립성을 가지고 국민에게 검증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며 "국가적 차원에서 원전 아래 단층을 중장기적으로 집중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댓글 표시하기
한반도 지진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