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5천만 시대 열렸지만 중년·노령인구만 늘었다


오프라인 대표 이미지 - SBS 뉴스

대한민국 인구가 5년 전보다 2.7% 증가하면서 5천만 명 시대에 진입했습니다.

1985년 4천만 명 시대에 진입한 지 30년 만입니다.

하지만 수도권 집중이나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문제가 가속화되는 모습입니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전체 인구 증가세를 주도하는 가운데 전남 지역은 광역 지자체 중 처음으로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했습니다.

생산연령인구는 사실상 제자리걸음을 하면서 경제 활력 둔화를 예고했습니다.

통계청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15 인구주택총조사 전수부문'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주민등록부와 외국인등록부, 건축물대장 등 13개 기관 400여개 대학의 행정자료 24종을 활용한 등록 센서스 방식으로 이뤄졌습니다.

통계청은 2005년까지는 전통적 현장조사 방식을 활용했으나 2010년부터는 행정자료를 활용한 등록 센서스 방식을 도입했습니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총 인구는 5천107만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2010년 대비 2.7%, 136만 명 증가한 것으로 연평균 증가율은 0.5%였습니다.

성별로는 남자가 2천561만 명으로 2.7%, 여자가 2천546만 명으로 2.8% 늘었습니다.

인구밀도는 ㎢당 509명으로 2010년보다 12명 많아졌습니다.

우리나라는 1237명인 방글라데시, 649명인 대만에 이어 인구 1천만명 이상 국가 중 세 번째 인구 조밀국가로 분석됐습니다.

수도권 인구는 전체 인구의 49.5%인 2천527만 명으로 2010년 대비 0.3%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수도권 인구 비율은 2000년 46.3%에서 2005년 48.2%, 2010년 49.2% 등으로 계속 상승하면서 수도권 집중 현상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서울의 유출 인구보다 인천과 경기지역의 유입인구가 더 많기 때문입니다.

시도별로 보면 경기도가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4명 중 1명 꼴인 24.4%를 차지했고, 서울 19.4%, 부산 6.8%, 경남 6.5% 등의 순이었습니다.

시군구별로는 경기 수원시가 119만명의 인구가 밀집돼 가장 많았고, 경남 창원시 106만 명, 경기 고양시 99만 명 등의 순이었습니다.

전체 인구수는 증가했지만 저출산·고령화의 지속으로 유소년 인구는 감소하고 중년 이상, 특히 고령인구만 급격히 늘어나고 있습니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유소년인구(0∼14세)는 691만명으로 2010년 788만명 대비 97만명 감소했습니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657만명으로 2010년 536만명 대비 121만명 늘어났습니다.

이에 따라 유소년인구에 대한 고령인구의 비율인 노령화지수는 2010년 68.0에서 2015년 95.1로 급상승했습니다.

우리경제의 근간인 생산연령인구(15∼64세)는 3천623만명으로 2010년 3천551만명 대비 72만명이 늘었지만 전체 인구가 늘어났기 때문에 비중은 0.1%포인트 증가에 그쳤습니다.

전체적으로 45세 이상 인구는 2010년 대비 연령대별로 모두 늘어났지만 45세 이하 인구는 20∼24세를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감소했습니다.

우리나라의 중위연령은 41.2세로 2010년 38.2세 대비 3.0세 증가하면서 처음으로 40대에 진입했습니다.

중위연령은 모든 인구를 줄 세웠을 때 제일 가운데 선 사람의 나이를 뜻합니다.

이는 일본, 독일, 영국보다는 낮지만 프랑스와 미국 등 보다 높고 중국이나 인도와는 큰 격차를 보였습니다.

우리나라 모든 시도의 고령인구 비율이 7%가 넘어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고 21.1%인 전남은 광역 지자체 중 처음으로 전체 인구의 20% 이상이 65세가 넘는 초고령사회에 도달했습니다.

우리나라 전체 성씨는 5천582개로 1천명 이상인 성씨는 153개였습니다.

상위 10대 성씨는 김, 이, 박, 최, 정, 강, 조, 윤, 장, 임 순이었고 이들 10대 성씨가 차지하는 비율은 2000년 64.1%에서 2015년 63.9%로 0.2%포인트 감소했습니다.

김씨가 1천69만명, 21.5%로 가장 많고, 이씨 731만명, 박씨 419만명 등이 '빅3'를 유지했습니다.

법적으로 미혼이고 18세 이하 자녀를 양육하는 미혼모는 2만4천명, 미혼부는 1만1천명으로 집계됐습니다.

국내 거주 외국인은 2010년 96만명에서 2015년 136만명으로 41.6% 증가하면서 처음으로 100만명을 넘었습니다.

총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7%였습니다.

국적별로는 중국계 외국인이 절반이 넘는 51.6%를 차지했는데 한국계 중국인이 50만명이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