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의 10명 중 6명은 조선업과 공공기관 파업에 부정적이라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6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최근 여론조사 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성인남녀 700명을 대상으로 '노동조합 관련 국민인식' 설문조사를 한 결과, 최근 구조조정이 진행 중인 조선업 파업과 성과연봉제 도입에 반대하는 공공기관의 파업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이 팽배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업 노조의 파업에 대해서는 60.5%가 '지지하지 않는다'고 답했고, 공공기관 노조의 파업에 대해서도 59.2%가 같은 답변을 했다.
노조의 경제·사회적 역할에 대해서는 노조가 불평등 해소에 기여하지만 높은 청년실업률에 책임이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노조가 경제발전에 기여하는지 묻는 질문에 '긍정'(28.0%)보다 '부정'(30.6%) 답변이 많았고, 노조가 사회통합에 기여하는지에 대해서도 '긍정'(27.2%)보다 '부정'(34.0%) 답변이 많았다.
반면 노동조합이 사회적 불평등 해소에 기여하는지 묻는 질문에는 '긍정'(39.1%)이 '부정'(27.0%)보다 많았다.
'높은 청년실업률에는 기득권 노조의 책임이 있다'는 인식은 43.2%로, 청년실업 해소를 위한 노조의 사회적 책임에 공감하는 국민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사 상생'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떠오르는 기업이 있는지 묻는 질문에는 70.1%가 '없다'고 답했다.
'노동조합'에 대한 이미지는 임금·복지 증진 등 근로자 대변(34.5%)이 가장 많았고, 다음은 시위·파업 등 쟁의행위(23.9%), 귀족노조 등 기득권(13.6%)이 뒤를 이어 긍정·부정적 의견이 혼재했다.
응답자들은 노조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고용세습 등 불합리한 관행'(32.4%)을 꼽았으며, '폭력집회 등 강경 투쟁'(27.6%), '노조 근로자만을 대변'(18.6%), '근로조건 개선보다 사회적 이슈에 집중'(16.0%) 등이 뒤를 이었다.
노동계가 가장 관심을 기울여야 할 사항으로는 '정규직·비정규직 및 대기업·중소기업 임금격차 완화'(41.9%)를 가장 많이 꼽았고 '높은 청년실업률 해소'(22.1%), '대립적 노사관계 개선'(16.6%)이 뒤를 이었다.
송원근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대내외 경기가 어렵고 국민 대다수가 노조의 대규모 파업에 부정적인 인식을 보이고 있다"며 "이제는 노조도 정규직의 기득권 보호보다 임금격차 완화, 청년실업률 해소 등을 위해 노력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