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기사 쓰러져도, 장애아동 길 헤매도…무관심·방관·냉담

인성교육과 공동체 훈련 강화해야" 전문가 '이구동성'


오프라인 대표 이미지 - SBS 뉴스

1964년 3월 13일 미국 뉴욕 한 주택가에서 키티 제노비스라는 여성이 자신의 집 앞에서 괴한에게 성폭행당한 뒤 살해됐습니다.

키티는 약 35분 동안 칼에 찔리고 성폭행을 당했지만 이를 목격한 이웃 38명은 누구도 현장으로 가서 그녀를 돕지 않았고, '살려달라, 도와달라'며 비명을 지르던 그녀가 숨지고 난 후에야 주민 1명이 경찰에 신고했습니다.

많은 이웃의 도덕성 논란을 불러온 이 사건 이후, 주변에 사람이 많을수록 어려움에 부닥친 사람을 돕지 않은 채 방관하는 '무관심' 현상을 일컫는 '제노비스 신드롬' 또는 '방관자 효과'라는 표현이 생겼습니다.

최근 국내에서도 키즈카페에서 사라진 5세 발달장애 아동이 인근 공원 호수에 빠져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실종되던 날 키즈카페와 공원은 수많은 인파로 붐볐지만,맨발로 뛰어나와 불편하게 공원을 거닐었을 발달장애 5세 아동을 누구 하나 유심히 지켜보지 않았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 급작스러운 심정지로 사고를 낸 택시기사를 택시에 타고 있던 승객이 개인일정을 이유로 자리를 떠나는 등 사회에 만연한 '무관심'이 병폐가 되고 있습니다.

이 승객은 사고 현장을 지켜보던 다른 목격자들에게 '신고를 해달라'고 부탁을 했지만, 휴대전화가 있었음에도 119구급대에 신고하지 않고 2시간여 뒤 목적지에 도착하고 나서야 경찰에 전화를 걸었습니다.

전문가들은 도움이 필요한 상황에서 외면하지 못하도록 법적 책임을 묻는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면서도, 무엇보다 어릴 때부터 인성교육과 더불어 상대방에 대한 배려 등 공동체 훈련을 강화해야 한다는데 입을 모읍니다.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는 "책임 소재가 불분명하기에 복잡한 일에 연루되기 싫고 귀찮아서 개입하지 않게 된다"며 "이번 사고가 사람이 밀집한 대도시에서 발생하다 보니 '나만 목격한 게 아니라서 내 책임이 아니다'라고 생각했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조경덕 배재대 심리 철학상담학과 교수는 무관심의 이유에 대해 "현대인들은 모든 게 불안하기 때문"이라면서 "자신과 관계된 일을 먼저 처리해야 하는 조급증 때문에 전체를 볼 수 있는 여유가 없어졌다"며 "경쟁이 치열하다 보니 나만 보게 된다"고 지적했습니다.

조 교수는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자녀의 앞날과 자신의 노후에 대한 불안이 극에 달했다"며 "신고를 하면 경찰서에 오라 가라 하는 부분이 귀찮고, 공권력을 믿지 못하는 부분도 있어 관여하지 않으려다 보니 그냥 지나치게 된다"고 분석했습니다.

사회적 무관심이 최근 들어 이슈화되는 만큼 자성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는데, 이를 공동체 회복을 위한 '터닝포인트'로 삼아야 한다는 제언도 나오고 있습니다.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