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선물류, O2O 등 고부가가치 물류 신산업 육성을 위한 인프라가 주요 공항과 항만에 갖춰집니다.
국토교통부와 해양수산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16∼2025년 국가물류기본계획'을 국가물류정책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했다고 밝혔습니다.
국가물류기본계획은 국가 물류정책의 기본방향을 담은 10년 단위의 중장기 전략으로 5년마다 수립합니다.
이번 기본계획은 그동안 정부 주도와 수출입 물류 위주로 추진해온 물류정책 패러다임을 민간 주도의 생활물류·신물류산업 지원으로 전환한 것이 특징입니다.
먼저 도로운송 분야에서 산업간 융복합을 지원하고 도심 물류인프라를 확충하고자 '도시첨단 물류단지'를 운영합니다.
화물 운송시장의 경우 진입제도를 현실 여건에 맞게 개선하고 삼륜 전기차 등 새로운 수송수단 상용화를 위한 관련 법령 정비에 나섭니다.
해운항만 분야는 초대형 고효율 선박 도입을 위한 선박펀드를 운용하는 한편 운임 파생상품 거래가 가능한 '해운거래소' 설립을 추진합니다.
인천신항에는 대중국 신선물류 수출을 지원하는 '콜드체인 클러스터'를, 부산항에는 가공·조립·제조기업을 유치할 수 있는 525만㎡ 규모의 배후단지를 추가로 조성합니다.
인천국제공항에는 특송물류센터를 세우는 데 이어 제조·물류 융복합 기업이 입주할 수 있는 3단계 배후단지를 조성할 방침입니다.
아울러 드론 배송, 물류로봇, 스마트 컨테이너 등 첨단 물류기술 개발과 상용화에 속도를 냅니다.
'물류 R&D(연구개발) 로드맵'을 올해 중 수립해 가상현실(VR) ·자율물류·사물인터넷(IoT)· 웨어러블기기 등 차세대 물류기술 선점을 위한 중장기 전략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통해 무인물류센터 관리 시스템, 초고속 물류·장거리 운송을 위한 하이퍼루프형 수송 시스템(시속 1천㎞ 이상), 고성능 하역시스템 등 기반기술을 확보한다는 계획입니다.
정부는 이번 기본계획을 토대로 2025년까지 ▲ 물류산업 일자리 70만개 창출 ▲ 국제물류경쟁력 10위로 도약 ▲ 물류산업 매출액 150조원 기록 등의 목표를 달성한다는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