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파일] 철새는 왜 떠났나? 월동지 명성 '옛말'


2천년 대 초까지만 해도 경기 시화호와 충남 천수만 간월호는 겨울철새 월동지로 기자들의 단골 취재지역이었습니다. 수십만 마리의 겨울철새들이 일제히 호수를 날아오르거나 비행을 마치고 내려앉는 모습은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멋지고 황홀했습니다.

15년이 흐른 지금 대표적 철새 월동지였던 두 곳은 옛 명성의 흔적을 찾을 수 없을 만큼 초라했습니다.

오프라인 본문 이미지 - SBS 뉴스

국립생물자원관은 지난달 15일 부터 17일 까지 전국 200곳의 철새도래지를 대상으로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를 실시했습니다. 올 겨울 우리나라를 찾은 철새는 194종, 158만 9천835마리로 집계 됐습니다. 지난해 보다 24.8%늘어 31만3천197마리가 날아은 것으로 관찰됐습니다.

번식지인 러시아와 중국 쪽에서 개체수가 증가한 게 원인이라는 설명입니다. 어쨌든 철새들이 많이 찾아왔다는 것은 우리나라 생태계가 건강하다고 평가할 수 있는 한 증거여서 반가운 소식입니다.

오프라인 본문 이미지 - SBS 뉴스

개인적으로 눈길이 간 자료는 경기 시화호와 충남 천수만 간월호의 조사결과였습니다. 두 지역 모두 2000년 대 초반에 비해 철새수가 급감했기 때문입니다. 시화호의 경우 2001년 17만1천202마리로 정점을 기록했지만, 올해 관찰된 철새는 2만6천186마리에 그쳤습니다.

또 천수만 간월호도 지난 2000년 7만2천108마리에서 올해는 1만4천371마리로 줄었습니다. 15년 만에 시화호에서는 무려 15만 마리의 철새가 감소했고, 간월호에서는 6만 마리가 자취를 감춘 것입니다.

오프라인 본문 이미지 - SBS 뉴스

 조사결과가 사실인지 궁금해서 24일 간월호를 찾아갔습니다. 간월호 상류 기러기와 오리떼가 놀던 곳에는 고니 수 십마리가 쉬고 있을뿐 새까맣게 호수를 덮고 있던 기러기와 오리들은 보이지 않았습니다. 간척지 논에도 한 무리 당 100여 마리 안팎의 기러기들이 군데 군데 앉아 먹이를 먹고 있었습니다. 재두루미 일부개체도 눈에 띄었습니다. 눈을 의심할 만큼 철새들의 수가 줄었습니다.

광고 영역

11월이나 12월 중순 쯤 십만 마리가량의 큰 기러기떼와 고방오리,청둥오리들이 관찰됐지만 대부분 남쪽 다른 곳으로 이동한 것입니다. 본격적인 겨울이 시작되기 전에 떠난 것에 주목해야합니다. 시화호의 사정도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흔하디 흔하던 오리떼 일부만 관찰 될 뿐이었습니다.

오프라인 본문 이미지 - SBS 뉴스

 월동지는 말 그대로 철새들이 번식지인 러시아 지역의 매세운 추위를 피해 상대적으로 따뜻한 우리나라에서 겨울을 보내기 위해 찾아오는 지역을 말합니다. 강과 호수가 얼지 않고 들녘에서 먹이활동을 할 만한 조건이 되기 때문인 것입니다.

기온변화는 크지 않은데 철새들이 머물지않고 떠났다는 것은 월동지로서의 조건을 상실했기 때문입니다. 먹이 부족이나 사람들의 간섭과 방해가 주 요인입니다. 월동지로서의 철새 서식환경이 파괴돼 새들이 외면했다고 봐야합니다.

철새 월동지로서 간월호의 가장 큰 장점은 끝 없이 펼쳐진 천수만 간척지 평야지대로 둘러싸여 있다는 사실입니다. 서산, 태안, 홍성 등 3개 시.군에 걸쳐 면적만 무려 1만1백여 헥타르에 이를만큼 광활한 곡창지대입니다. 천수만 간척지 A지구의 경우 서산지역 5천133ha 홍성 1천323ha이고, B지구는 태안 2천253ha 서산 1천518ha에 이릅니다.

이 드넓은 곡창지대에서는 벼농사를 짓고 있어 추수 후 논바닥에 떨어진 낙곡이 철새들의 먹이로 쓰였습니다. 그런데 몇년 전부터 농민들이 볏짚을 가축먹이용으로 쓰거나 팔기위해 대부분 거둬 갔습니다. 철새 보금자리였던 추수 후 논바닥은 흰천으로 볏짚을 둥그렇게 말아둔 ‘곤포 사일리지’ 덩어리들이 차지했습니다.

곤포사일리지는 수분이 많은 볏짚을 진공 저장해 발효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이 볏짚 한 덩어리에 5만원~6만원 가량 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논 주변에는 볏짚을 사겠다는 광고 현수막도 나 붙어있습니다. 축산 농가들에게는 요긴한 사료이기 때문입니다.

오프라인 본문 이미지 - SBS 뉴스

환경부는 지난 2천2년부터 철새들의 먹이원인 볏짚을 논바닥에 그대로 놓아두면 3.3㎡에 90원씩 보상을 해주는 생물다양성관리계약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간월호 주변 간척지 논에서 볏짚을 수거하지 않고 철새 먹이로 공급하는 면적은 2015년 기준 서산 1천628ha, 홍성 409ha 등 모두 2천37ha로 간척지 전체 면적의 20%가량에 불과합니다.

당연히 먹이가 부족할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또 태안 쪽 B지구 2천253ha 가운데 1천100ha는 관광레저형 기업도시로 개발중 이어서 철새 먹이원으로서의 농경지 면적은 그만큼 줄어들었습니다.

수 년째 진행되고있는 간월호 농수로 정비공사도 철새의 서식을 방해하는 요인입니다. 중장비가 오가며 하루 종일 흙을 퍼 실어 나르는데 대해 철새들이 불안을 느끼는 것은 당연한 일일 것입니다. 게다가 최근에는 붕어를 낚겠다며 간월호에 낚시꾼들까지 몰려들어 하루종일 그늘막을 치고 머물고 있습니다.

오프라인 본문 이미지 - SBS 뉴스

시화호 주변에도 공장들이 많이 들어섰고, 작업차량과 사람들의 왕래가 빈번해졌습니다. 국립생물자원관 김진한 동물자원과장은 철새들은 사람들이 접근할 때 2백미터 거리에서부터 경계를 하고 100미터 정도 가까이 가면 도망가는 행동양태를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사람들의 간섭과 방해가 철새들에게는 최대의 적인 것입니다.

오프라인 본문 이미지 - SBS 뉴스
오프라인 본문 이미지 - SBS 뉴스

철새를 포함 야생동식물의 미래는 우리 인간의 미래이기도 합니다. 동식물이 살 수 없는 환경에서는 최상위 포식자인 인간도 존재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철새들에 대한 간섭은 줄이고, 관심과 배려를 늘리는게 필요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