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서 처음으로 '한국인 원폭피해자' 문제 제기돼


"일본 정부는 과거 침략전쟁의 잘못을 인정하고 사죄해야 하며, 원자폭탄 피해 한국인들에게 사죄·배상해야 한다"

1945년 8월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폭판 투하가 있은 지 70년이 지난 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소재 유엔본부에서는 한국인 원폭피해자 문제가 유엔 차원에서 처음으로 제기됐다.

유엔본부에서 올해로 9번째를 맞은 '핵확산금지조약(NPT) 재검토 회의'에서 한국인 피폭자와 한국 시민·사회단체가 처음으로 '일본내 한국인 피폭자' 문제를 거론한 것이다.

그간 회의에서는 주로 일본인 피폭자 중심으로 원폭 문제가 다뤄져왔다.

1945년 8월 6일 히로시마 원자폭탄 투하로 44만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 가운데 한국인은 7만명이다.

이어 같은 달 9일 나가사키 원폭으로 한국인 3만명을 포함해 30만 명의 사상자가 생겼다.

두 차례에 걸친 원폭으로 피해를 본 한국인 10만 명 가운데 5만 명은 현장에서 숨졌고, 생존자 5만 명 가운데 4만 3천 명은 한국으로 돌아왔다.

이날 회의에서 발언자로 나선 한국인 피폭자 심진태(72)씨는 자신의 아버지가 일본 정부에 의해 강제동원돼 히로시마 군사기지에서 강제노역했다고 소개했다.

그는 "피폭 한국인 상당수가 일제에 의해 강제동원됐다"면서 "고향으로 돌아온 한국인 피폭자 4만3천 명은 원폭 후유증과 사회적 냉대 속에 치료조차 받지 못하고 죽어갔다"고 개탄했다.

특히 심씨는 "일본 정부는 한국인 원폭 피해자를 완전히 외면하고, 차별했다"면서 "일본은 침략전쟁, 식민지배의 역사 왜곡을 중단하고 원폭 피해자들에게 사죄하고 배상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미국도 세계 최초로 원자폭탄을 개발, 투하한 원죄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죄하라"고 덧붙였다.

이어 참여연대 평화군축센터 백가윤 간사도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접근 방안'이라는 발표에서 "한반도를 둘러싼 핵위험을 해결하려면 '6자 회담'이 조속히 재개돼야 한다"면서 "남북한은 대화와 협력을 확대하고 주변국은 이를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군비경쟁을 촉발하는 미사일 방어 협력 등을 비롯한 한미일 군사협력과 동맹 추진을 중단하라"고 주장했다.

시민·사회단체인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평통사)의 김한나 청년대표 역시 '한반도 핵문제의 원인과 해결 방안'이라는 주제발표에서 "미국의 대북 정책은 북한이 핵을 포기할 때까지 기다리되 중국이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그러나 이로 인해 결국 북한의 핵능력만 강화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한반도의 비핵화를 실현하려면 '한반도 평화협정'을 체결하고 평화체제 구축에 나서야 한다"고 제안했다.

(연합뉴스)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