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저작권자 2만 명 시대…2만 번째 회원 가입


오프라인 대표 이미지 - SBS 뉴스

음악을 창작하는 저작권자가 2만 명 시대에 접어들었다.

대중음악·가곡·동요·국악·종교음악 등 음악 저작권을 신탁 관리하는 한국음악저작권협회(이하 한음저협)는 8일 협회 설립 50여 년 만에 2만 번째 회원이 가입한다고 밝혔다.

한음저협은 음악 저작권에 대한 인식조차 없던 1964년 문교부(현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설립 인가를 받아 음악 사용에 대한 소액의 저작권료를 받으며 출발했다.

50여 년 만에 회원 2만 명이 된 것은 국내 음악 시장이 규모 면에서 괄목할 성장을 이룬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음저협 관계자는 "한 달에 150~200명씩 회원이 증가하고 있다"며 "음악 저작권료를 통해 부를 창출하는 작곡가들이 많아졌고 저작권자들이 과거에 비해 사회적인 영향력이 높아지다 보니 저작권 분야로 유입되는 인력이 많아졌다. 또 대학의 실용음악학과가 늘어난 영향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여전히 음악 저작권 시장에는 해결 과제가 남아있다.

한음저협은 지난해 1천200억원의 음악 저작권료를 징수해 저작권자들에게 분배했으나 일본이 음악 저작권료로 약 1조2천억원을 징수 및 배분하는 것에 비하면 여전히 국내 저작권 시장이 음악의 영향력에 비해 미미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

또한 저작권자 간에 부익부 빈익빈이 심화하고 있어 일부에서는 최저 생계비 수준의 수익이 보장돼야 한다는 등 처우 개선이 시급하다는 견해도 나오고 있다.

한음저협 관계자는 "회원수가 늘어나면 음악 저작권 시장 규모가 상응해 확대돼야 한다"며 "저작권에 대한 인식이 넓어져 저작권료 파이가 커져야 한다. 저작권자만 늘어나는 현실이어서 부익부 빈익빈이 존재하는 건 어두운 단면"이라고 말했다.

또 음원 유통 시장의 불합리한 수익 분배 구조도 지속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

음악 저작권자들의 합리적인 음원 수익을 보장하겠다는 취지로 설립된 바른음원유통협동조합의 신대철 이사장은 지난해 국회 공청회에서 한국의 음원 시장은 음악 창작자보다 음악 서비스 업체 등의 사업자들이 상대적으로 많은 수익을 가져가는 기형적인 구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