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범 멍에' 식민지 조선인 모임 동진회, 슬픈 환갑잔치


식민지 조선에서 일제의 포로 감시원으로 동원됐다가 전범의 멍에를 뒤집어쓴 이른바 B·C급 전범들의 모임인 동진회가 '환갑'을 맞았습니다.

한 때 사형수 신분이었던 이학래(90) 씨(재 일본 동진회 회장)와, 자신의 아버지가 처형된 강도원(77) 씨(재 한국 동진회 회장) 등은 오늘(1일) 오후 도쿄 지요다 구 중의원 제2의원회관에서 결성 60주년을 기념하고 일본 정부에 사죄와 보상 입법을 요구하는 행사를 개최했습니다.

이 자리에는 우쓰미 아이코 게이센조가쿠인 대 명예교수 등 긴 세월 동진회를 지원해온 일본 시민단체 및 학계 인사 등 100명 이상이 자리했습니다.

후지타 유키히사 참의원(민주당)과 이케우치 사오리 중의원(공산당) 등 국회의원 6명도 참석해 입법을 위한 노력을 다짐했습니다.

'한국인 BㆍC급 전범'은 일제가 태평양전쟁 때 태국,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등지의 연합군 포로감시원으로 투입했던 조선인 중 일본 패전 후 열린 연합군의 군사재판에서 포로학대 등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148명을 말합니다.

일본은 3천200여 명의 조선인들을 군속 신분으로 허위 모집한 후 포로 감시원으로 투입했고, BㆍC급 전범으로 지목된 한국인 148명 중 23명이 처형됐습니다.

이들은 한국에서도 긴 세월 '일제 부역자'라는 곱지 않은 시선을 받아야했고, 전후 일본 정부의 국적 이탈 조치에 따라 일본 국적마저 상실했습니다.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6년 `일제강점하 강제동원 피해진상규명위원회'에 의해 전범이 아닌 강제동원 피해자라는 인정을 받음으로써 최소한의 명예는 회복했지만 일본 정부로부터는 어떠한 사죄와 보상도 받지 못했습니다.

대부분 고령으로 사망했고,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람도 2명 있었습니다.

귀환하지 않고 일본에 남아 1955년 4월 동진회를 설립한 사람들 중 생존해 있는 사람은 이학래 회장을 포함해 5명뿐입니다.

하루빨리 명예를 회복하고 보상을 받은 뒤 동진회를 해체할 날을 쏜 꼽아 기다리는 이 회장에게 동진회의 '환갑 기념행사' 자체가 어찌보면 비극이었습니다.

하지만 이 회장은 존엄을 회복하기 위한 긴 싸움을 포기하지 않고 있었습니다.

인사말을 하기 위해 힘겹게 마이크를 잡은 그는 "일본 정부가 스스로 부조리를 시정해 빨리 (B·C급 전범 보상을 위한) 입법 조치를 강구함으로써 이미 세상을 떠난 친구들의 원한을 다소나마 치유하고 명예회복을 시켜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어 "일본 정부와 국회의 양식과 도의에 강하게 호소한다"며 "금년은 전후 70주년과 한일국교정상화 50주년, 그리고 동진회 결성 60주년을 맞이하는 만큼 이 기회에 오랜 현안을 반드시 해결하길 강력하게 요구한다"고 부연했습니다.

(SBS 뉴미디어부)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