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작년에 68조 증가…1인당 부채잔액 2천150만 원


저금리와 부동산 금융규제가 완화로 1년 사이 가계부채가 68조원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4년 4분기 중 가계신용'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가계신용 잔액은 1천89조이었습니다.

이는 1년 전보다 67조6천억원, 6.6% 늘어난 금액으로, 올해 추계 인구가 5천62만명인 점을 고려하면 국민 1인당 2천150만원 정도의 빚을 진 셈입니다.

가계신용은 가계빚 수준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통계로, 금융권 가계대출은 물론 결제 전 카드 사용금액와 보험사, 대부업체, 공적금융기관 등의 대출을 포괄합니다.

가계부채 연간 증가액은 2011년 73조원으로 정점을 찍고 2012년 47조6천억원으로 꺾이는 듯했는데, 주택담보대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재작년부터 다시 늘었습니다.

특히 지난해 4분기에는 가계부채가 29조8천억원 늘어 증가액이 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가계빚 증가세는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이 주도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지난해 8월부터 시행된 주택담보인정비율 LTV, 총부채상환비율 DTI 규제 완화와 두 차례에 걸친 기준금리 인하로 대출 수요가 늘어난 결과입니다.

1년 사이 늘어난 은행권 가계대출 38조5천억원 가운데 95.3%인 36조7천억원이 주택담보대출이었습니다.

가계부채 증가에 대한 안팎의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정부는 현재 가계부채가 전반적으로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는 평가를 내놨습니다.

소득 4∼5분위의 고소득자가 빌린 돈이 전체 가계부채의 70%를 차지해 상환 능력이 양호하고, 가계의 금융자산이 부채보다 두 배 이상 많다는 겁니다.

정부는 또 부동산 등의 담보력이 있는데다 연체율과 주택담보인정비율이 낮아 손실 흡수 능력도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엇갈린 의견을 내놓고 있습니다.

박창균 중앙대 교수는 "가계부채 규모가 소득 수준보다 너무 많다는 것은 객관적인 사실"이라며 "우리나라의 소득 규모 대비 가계부채는 전 세계 최상위권"이라고 말했습니다.

염명배 충남대 교수도 "가계부채가 국내총생산 GDP의 60%를 넘으면 위험한 것으로 평가하는데, 현재 규모가 이미 60%를 넘어 GDP에 육박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