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출산으로 경력단절, 민간기업이 공공기관의 3배


오프라인 대표 이미지 - SBS 뉴스

민간기업에 다닌 여성이 공공기관에 다닌 여성보다 임신이나 출산으로 인한 경력단절을 경험한 비율이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취업여성의 출산행태와 정책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6세 미만의 자녀를 둔 25∼39세 여성 1천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대상자의 20.8%가 경력단절 경험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경력단절 후 재취업에 성공한 여성을 포함해 현재 취업 상태인 여성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어서 현재 취업하고 있지 않은 여성을 포함하면 경력단절 경험률을 훨씬 늘어날 것이라고 연구원은 설명했습니다.

경력단절 당시 다니던 직장 유형별로 보면 민간기업에 다니던 여성의 경력단절 비율이 24.7%로, 공공기관 종사 여성의 7.8%보다 3배 이상 높았습니다.

또 임시·일용직은 42.9%로 상용직의 17.5%에 비해 경력단절 경험 비율이 훨씬 높았습니다.

직업별로는 서비스·판매직 34.1%,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24.4%, 사무직 18.2%, 관리자 13.3% 순으로 경력이 단절된 경우가 많았습니다.

경력단절을 경험한 이유로는 '양육과 직장을 동시에 수행할 시간이 부족하다'는 응답이 42.6%로 가장 많았고, '자녀를 맡길 마땅한 시설이 부족'하거나 '인사상 불이익 등 직장 내 분위기로 인해 비자발적으로 퇴사'했다는 응답도 많았습니다.

추가 출산에 대한 의지에도 차이가 있어서 현재 자녀가 1명인 공공기관 종사 여성 가운데 둘째를 낳고 싶다고 응답한 여성은 61.4%였으나 민간기업 종사 여성 중엔 그 비율이 47.1%에 그쳐 14.3%포인트 차이가 났습니다.

공공기관에 다니는 여성 중에는 7.9%만이 추가 출산시에 경력단절을 경험할 것으로 예상한 반면 민간기업 여성 중에는 17.3%가 경력단절을 우려하고 있었습니다.

연구를 수행한 이삼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인구정책연구본부장은 "취업-만혼화-저출산의 악순환 고리 중심에는 일·가정 양립 곤란이 자리잡고 있다"며 "민간기업 종사자, 임시·일용직 등은 욕구가 있어도 일·가정 양립제도 이용이 어려운 실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본부장은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 가족친화적 직장 문화 조성 ▲ 인력대체 등 종합서비스 제공 ▲ 일·가정 양립 관련 학교교육 및 사회교육 활성화 ▲ 가칭 '일·가정 양립 지원기금' 조성 등의 정책 대안을 제시했습니다.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