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뒤늦은 3G망 준비…IS 사태가 관건


이라크가 이달 초 통신사업자 3곳과 3세대(3G) 통신망 구축 계약을 맺고 일단 내년 초를 목표로 3G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전쟁터나 다름없는 이웃 아프가니스탄도 이미 3G 망을 개통했고 걸프지역에선 4세대 LTE가 일반적인 상황을 고려하면 사실상 중동 지역에서 가장 늦게 3G 서비스를 시작하게 된 셈이다.

휴대전화 제조사로선 중동지역에 큰 스마트폰 시장이 하나 더 열린다는 뜻이다.

이라크의 통신망이 다른 나라보다 상대적으로 뒤처진 것은 2003년까지 장기집권한 사담 후세인 정권이 위성방송과 휴대전화를 금지한 탓이다.

그가 그해 미국의 침공으로 축출된 뒤에야 이라크 국민은 휴대전화를 쓸 수 있었다.

'이슬람국가' 사태로 혼란스러운 시기임에도 3G 서비스가 추진되는 데엔 저유가에다 IS 대응으로 이라크 정부의 재정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통신사업은 원유부문 다음으로 이라크 정부 재정 수입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3G 서비스 계약을 맺은 자인이라크, 아시아셀, 코레크 3사는 주파수를 할당받는 조건으로 이라크 정부에 각각 3억700만 달러를 4번에 나눠 낸다.

주파수 할당만으로도 이라크 정부는 10억 달러에 가까운 돈을 확보하게 됐다.

게다가 올해 9월 취임한 하이데르 알아바디 이라크 총리가 2003년부터 1년간 통신부장관을 역임한 전기공학박사 출신의 전문가라는 점도 3G 서비스를 추진한 배경이다.

무함마드 알알라위 전 이라크 통신부장관은 "총리는 3G 서비스가 이라크 경제 발전에 어떻게 역할을 할 것인지 잘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3G 서비스가 사업적으로 성공하기 위한 관건은 IS 사태다.

IS 사태로 피란민이 200만 명에 달하고 국내 정세가 불안해 지면서 탄탄대로를 달리던 통신 사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이라크 1위 통신사업자 자인이라크는 올해 3분기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 떨어진 12억4천만 달러를 기록했고 순이익은 14% 하락한 2억2천400만 달러에 그쳤다.

이 회사는 "사용자들이 피란을 떠나면서 (요금이 체납돼) 휴대전화 서비스가 중지된 것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또 각 통신사업자는 3G망 구축에 10억 달러씩을 투자해야 하고, 외국인 회사로 분류돼 이라크 정부에 3사 합계 연 11억 달러의 로열티도 내야 한다.

이들 통신사업자의 면허가 2022년이면 끝나는 탓에 그렇지 않아도 어려운 국내 경기 상황을 헤치고 앞으로 8년 안에 초기 투자금을 상쇄해 손익분기점에 도달할 수 있는지도 불투명하다.

(연합뉴스)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