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재건축, 최경환호 출범 후 오른 만큼 도로 떨어져


새 경제팀이 내놓았던 부동산 규제 완화 정책이 약발이 다하면서 서울 강남권의 주요 재건축 아파트 가격이 정책 시행 이전 시세로 곤두박질 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서울 강남구 개포동 주공1단지 아파트의 경우 지난달 이후 가격이 급락하면서 총부채상환비율 DTI와 주택담보대출비율 LTV의 완화 이전인 7월 말 시세로 하락했습니다.

이 아파트 36제곱미터는 9·1 대책 발표 이후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감에 6억2천만 원에서 6억3천만 원까지 팔렸지만 최근 급매물이 5억9천500만원에 팔리며 심리적 저지선인 6억원이 무너졌습니다.

42제곱미터 역시 지난 9월 7억2천만원까지 팔리던 것이 현재 6억7천만원으로 5천만원이 떨어졌지만 거래가 되지 않고 있습니다.

송파구 잠실 주공5단지도 마찬가지여서 이 아파트 112제곱니터는 11억5천만~11억6천만원까지 올랐던 시세가 7월 말~8월 초 시세인 11억2천만∼11억3천만원으로 내려왔습니다.

119제곱미터도 9·1 대책 후 최고 13억원까지 거래됐으나 현재 12억6천만∼12억7천만원으로 떨어지며 규제완화 이전 시세로 회귀했습니다.

강동구 둔촌 주공아파트 2단지 53제곱미터는 지난 9월 최고 5억9천500만원 선까지 올랐지만 최근 3천만원가량 내린 5억6천200만원에 팔리며 역시 정부의 규제완화 방침 전 시세까지 떨어졌습니다.

또 최근까지 강세를 보이던 서초구 반포·잠원동 일대도 최근 들어 거래가 주춤하며 가격이 약보합세로 돌아선 모습입니다.

재건축 아파트값이 이처럼 약세를 보이는 것은 지난 3∼4개월간 가격이 단기 급등하면서 피로감이 쌓였기 때문입니다.

집값이 계속해서 오를 것이라는 확신이 없다 보니 일정 수준 이상에서는 추격 매수세가 따라붙지 못하며 가격이 빠지는 겁니다.

특히 세계경제의 불확실성과 경기침체 장기화, 국내 주가 폭락 등 대내외 경제 지표가 나빠진 것도 부동산 시장에 악재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문제는 강남권 재건축 단지의 거래 공백과 가격 약세가 장기화하면 강남권의 일반 아파트와 강북 아파트, 수도권 아파트로까지 가격 하락세가 도미노처럼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점입니다.

재건축 추진 단지는 아니지만 재건축 연한 완화 대책의 수혜지역으로 꼽히는 목동과 상계동의 아파트도 지난달부터 가격 상승을 멈추고 거래가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비강남권의 일반 아파트 역시 지난달부터 매수 문의가 감소하고 거래도 주춤한 분위기여서 이 달 이후 비수기에 접어들면 약세로 돌아설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9·1부동산 대책의 입법화와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 폐지, 분양가 상한제 탄력운영 등 시장 과열기에 도입한 규제 완화 등 후속조치를 서둘러야 한다고 말합니다.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