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향배 어디로…'추가인하론 vs 금리정책 한계론' 격돌


오프라인 대표 이미지 - SBS 뉴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역대 최저 수준인 연 2.0%로 인하한 가운데 추가 금리 인하로 경기를 확실한 회복 궤도에 올려놓아야 한다는 주장과 추가적인 금리 정책에는 한계가 있다는 주장이 맞붙었다.

한국경제학회와 한국금융연구원 주최로 15일 열린 '미국의 금리 인상 전망과 신흥시장국의 정책 대응' 세미나에서 오정근 건국대 특임교수는 "한국은행이 올해 12월이나 내년 초에 한 차례 더 기준금리를 인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 교수는 "미국이 기준금리 인상을 시작하기 전까지 충분히 경기를 활성화시키고 외화유동성을 확보해야 한다"며 "추가 금리 인하로 원·엔 환율 하락에 대응할 필요성 또한 크다"고 말했다.

오 교수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내년 9월께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지만, 유럽의 경기 둔화 우려로 그 시기가 내년 4분기로 늦춰질 듯 하다"고 말했다.

한국 경제가 내년 3분기 중 미국 금리 인상이 촉발한 금융 불안에 휩싸일 수 있기 때문에 적어도 2분기까지는 확실한 완화정책을 펴야 한다는 것이다.

오 교수는 "엔저 환경에서 내년 경제성장률 3.7%를 달성하려면 연평균 원·달러 환율은 달러당 1,090원, 엔·원 환율은 100엔당 860원대가 유지돼야 한다"고 봤다.

그러면서 "이를 위해 연평균 기준금리를 1.8% 수준으로 낮게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원·엔 환율이 더 떨어지면 내년 수출 증가율이 1%에도 못 미칠 수 있다"며 "적정 수준의 금리와 환율 정책조합이 매우 중요한 시기"라고 강조했다.

반면, 박종상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통화정책으로 대응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연준이 내년 하반기 이후 기준금리 인상을 시작할 것이란 데이는 박 연구원도 의견을 함께했다.

그는 미국 시장금리가 급격하게 오르기보다는 점진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박 연구원은 "한국 시장금리도 상승하겠지만, 장기 국채 수요가 탄탄해 급격한 금리 변동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며 "다만, 신흥국에서 외환위기가 일어나면 급격한 달러 회수로 금융시장 변동성이 크게 높아질 가능성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대외 요인으로 촉발된 금리 변동에 대한 대응에 있어 정책금리의 역할은 제한적"이라며 "단기적 금리정책으로 대응하기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금융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