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구조·수색 장기화…시신 유실 우려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세월호 침몰 사고의 구조·수색 작업이 장기화하면 시신 유실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시신 가운데 최소 40구 이상이 선내(船內)가 아닌 주변 해역에서 수습된 점도 이 같은 우려를 방증하고 있다.

25일 현재 수습된 185구 가운데 여객선 밖에서 45구가 수습된 것으로 알려졌다.

4구 가운데 1구 정도가 선체를 벗어났다는 의미다.

25일 범정부 사고대책본부에 따르면 세월호 침몰지점을 중심으로 반경 5마일을 '작전구역'으로 정하고 구조·수색작업과 동시에 시신 유실 방지에 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책본부는 특히 사고지점을 중심으로 3중 원형 수색구역을 설정했다.

유실한 시신을 찾기 위해 저인망 어선 8척을 동원했다.

시신이 거센 조류에 밀려갈 것에 대비해 맹골수도 앞뒤로 길이 13km에 이르는 닻자망 그물을 쳐놓은 상태다.

채낚기 어선 10척을 동원해 야간 수색작업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대책에도 시신 유실에 대한 우려는 여전해 실종자 가족들의 애를 태우고 있다.

광고 영역

시신 유실에 대비한 그물 설치 등이 지난 22일에야 이뤄진 데다 침몰 직후 배 안에서 시신이 빠져나갈 가능성도 크기 때문이다.

또 물살이 약한 소조기가 끝나고 사리로 접어든 데다 비바람 예보까지 있는 점도 우려가 커지는 대목이다.

이에따라 시신유실에 대비한 추가 그물설치 등 대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

대책본부 관계자는 "시신 유실방지에 투입된 어선이 모두 36척이다"며 "이중 삼중으로 그물을 설치하는 등 시신 유실에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남도도 시신 유실에 대비해 인접 해남군 등 지자체에 해안가 순찰 강화 등을 당부했다.

인접 해남군과 영광, 무안, 신안 등 지자체는 50여척의 선박을 동원해 수색작업에 동참하기로 했다.

한편 지난 2010년 4월 천안함 사건 때는 희생자 46명 중 6명을 끝내 찾지 못해 유가족을 안타깝게 했다.

nicepe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세월호 참사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