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최대 화물적재량, 단속당국은 몰라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세월호의 선실 증축으로 복원성이 약화되자 선박 검사를 담당한 한국선급은 화물을 당초 설계보다 적게 실어 운항하라며 검사를 통과시켜줬지만 정작 화물 과적을 단속하는 당국은 이런 정보를 알지 못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오늘(24일) 해양수산부와 인천해양경찰서 등에 따르면 세월호가 선실을 증축하자 한국선급은 세월호에 대해 '구조변경 뒤 무게중심이 51㎝ 높아졌으므로 화물을 덜 싣고 평형수를 더 채우라'고 했습니다.

구체적으로 '화물량은 구조변경 전 2천437t에서 987t으로 1천450t을 줄이고 여객은 88t에서 83t으로 5t 축소해야 하며, 평형수는 1천23t에서 2천30t으로 1천7t을 늘려야 복원성이 유지된다'고 적시했습니다.

그러나 선박 출항 전 과적·과승을 단속하는 한국해운조합의 운항관리실에는 이 같은 정보가 통지되지 않았습니다.

한국선급의 조건부 통과의 요건은 '복원성 자료'에 담기는데 이 서류는 선주에게만 건네지기 때문입니다.

특히 선박운항관리자가 단속의 근거로 삼는 세월호의 운항관리규정에도 이런 사항은 담겨있지 않습니다.

결국 선주만 이런 요건을 알고 있다 보니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과적을 할 수 있는 여건인 셈입니다.

실제 침몰한 세월호의 경우 화물은 규정된 것보다 3배 이상 과적하고, 설계보다 더 늘리라는 평형수는 적게 채우고 운항했다는 의혹이 일고 있는 상황입니다.

한국선급은 검사를 통해 안전운행을 위한 조건을 제시했지만 정작 현장의 단속 담당자는 이런 사실을 모른 채 단속을 해온 것입니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통상적으로 운항관리자도 일일이 화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배 측면에 표시된 만재흘수선(선박이 충분한 부력을 갖고 여객·화물을 실은 채 안전하게 항행할 수 있는 선박이 물에 잠기는 깊이를 표시한 선)을 보고 점검을 한다"고 말했습니다.

광고 영역

이러다 보니 선사 입장에서는 화물을 더 많이 실어 운송 수입을 챙기고 그만큼 평형수는 덜 싣는 식으로 만재흘수선을 적당히 맞춰 운행할 수 있는 여지가 생기게 됩니다.

선급의 검사 결과가 실제 현장의 단속의 지침으로 활용되지 못하는 제도상 허점이 이 같은 편법 운항을 가능하게 하는 것입니다. 

(SBS 뉴미디어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세월호 참사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