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실종자 수색이 상시 가능할 만큼 상황이 호전됐지만, 잠수사 장비의 한계로 또 한번 난관에 봉착했습니다.
침몰사고 현장에 투입된 민간잠수사는 오늘(23일) "장비 탓에 선체 깊숙한 곳까지 수색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산소통이 아닌 외부 공기 공급장치(에어컴프레셔)를 통해 호스로 공급된 공기로 호흡하는 잠수사인 일명 머구리들은 도달거리가 짧아 수색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습니다.
공기 공급장치 호스 도달거리는 100m입니다.
이는 해상 선박에 설치된 공기 공급장치에서 수면까지 25~30m, 수심 도달거리 35m를 계산하면 실제로 선체 안에서는 약 30~40m밖에 움직이지 못한다는 의미입니다.
여기에 조류 때문에 공기공급선이 늘어져 도달거리가 더욱 짧아진다고 잠수사는 설명했습니다.
일부 잠수사는 긴급히 공기 공급장치와 공기 공급선을 개선하는 작업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공기통을 메고 잠수하는 잠수사들은 시간상 한계도 극복해야 합니다.
이들은 공기통의 용량 제한으로 20분 이상 바닷속에 머무를 수 없어 유도선(가이드 라인)을 통해 선체 내부에 진입해도 깊은 곳까지 수색하지 못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선체 깊은 곳을 수색하려면 장비 개선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광고 영역
물살이 약한 소조기는 24일까지입니다.
(SBS 뉴미디어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