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에 바람까지…세월호 구조작업 '설상가상'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전남 진도 해상에서 침몰한 여객선 세월호의 승객 구조작업이 더딘 것은 바다가 갖는 특성도 큰 이유라는 지적입니다.

특히 세월호는 선수 일부분만을 제외하곤 선체 대부분이 물에 잠긴 상태이기 때문에 특수구조대가 배에 진입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문제는 구조대의 선체진입이 아무 때나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인 구조작업은 속도가 더딜 수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구조작업은 바닷물이 일시 멈추는 정조 시간대에만 가능합니다. 정조시간은 바닷물이 밀물에서 썰물로, 다시 썰물에서 밀물로 바뀌는 1시간가량입니다. 썰물과 밀물은 6시간 주기로 바뀌는데 구조작업 이틀째인 오늘은 새벽 3시30분, 오전 9시30분, 오후 3시30분, 밤 10시쯤입니다.

또 사고해역의 특성도 구조작업을 힘들게 한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맹골수도로 불리는 이 항로는 국내에서 두 번째로 조류가 센 곳입니다. 물살은 최대 6노트에 달할 정도며 오늘은 물때가 센 편에 속하는 9물이라고 현지 어민들이 전했습니다.

특히 해상에 부는 바람과 함께 높아진 파도도 구조작업을 어렵게 하는 요인입니다. 구조대 접근이 쉽지 않은데다 서해안 특성상 뻘물이 올라오기 때문에 시야도 거의 제로상태입니다.

여기에 여객선 특성상 선체로 진입할 수 있는 길이 많지 않기 때문에 투입할 수 있는 구조요원 수도 제한적인 것도 안타까운 대목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세월호 참사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