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자살 10년간 57.2%↑…증가율 OECD 2위"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국내 청소년의 자살률 증가속도가 성인 보다 빠르고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평균 보다 훨씬 높아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

한국건강증진재단은 오늘(10일) 세계 자살예방의 날을 맞아 통계청의 사망원인통계를 분석한 결과, 10∼19세 인구 10만명 당 자살자수가 지난 2001년 3.19명에서 2011년 5.58명으로 10년만에 57.2%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같은 기간 20∼64세 성인의 자살률은 인구 10만명 당 16.96명에서 33.58명으로 50.5% 늘었습니다.

특히 OECD 회원국의 청소년층 자살률은 감소하는 추세인데 반해 한국의 청소년층 자살률은 급증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동, 청소년으로 분류되는 10-24세 자살률 통계를 보면 OECD 31개국 평균은 인구 10만명 당 2000년 7.7명에서 2010년 6.5명으로 감소했습니다.

이 기간 한국의 같은 연령대 자살률은 6.4명에서 9.4명으로 47% 급증해 10년만에 순위가 18위에서 5위로 치솟았습니다.

이런 증가속도는 칠레에 이어 두 번째입니다.

건강증진재단은 "자살충동을 가진 성인은 우울증을 동반하고 있어 의학적 치료가 중요한 반면, 청소년 자살은 상대적으로 충동적인 측면이 많다"며 "원인이 다른 만큼 해법도 달라져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통계청이 지난해 발표한 사회조사보고서를 보면 20세 이상 성인은 자살충동 이유로 '경제적 어려움'(42.6%)과 '질환·장애'(14.4%)을 많이 꼽았지만, 13∼19세 청소년은 '성적 및 진학문제'(39.2%)와 '가정불화'를 주된 요인으로 꼽았습니다.

건강증진재단은 "청소년의 자살은 외부 환경에 의한 스트레스나 억울함에 대한 반응인 경우가 많다"며 "그들의 심정을 헤아려주고 같이 걱정해주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