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영산강 서식 붕어에 화학물질 더 쌓여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낙동강, 영산강, 북한강, 진주 남강, 순천 상사호 등 국내 5개 강의 퇴적물이나 하천수보다 이들 강에 사는 붕어의 체내에 화학물질이 더 많이 축적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지난해 낙동강 등 5개 강에 사는 붕어와 하천수·퇴적물의 '과불화합물' 10종의 잔류 실태를 조사한 결과, 붕어에서 가장 많은 축적물이 검출됐다고 밝혔습니다.

과불화합물은 코팅제, 반도체 세정제, 식품 포장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화학물질로 분해가 잘 안 되기 때문에 단백질과 결합하면 생체 내에 쌓입니다.

붕어의 체내에서 단백질량이 많은 간에서는 과불화합물이 5개 강 평균 0.16∼11.11ppb가, 혈액에서는 1.72∼48.23ppb 농도로 검출됐습니다.

이에 비해 퇴적물에서는 과불화합물이 5개 강 평균 0.02∼0.57ppb, 하천수에서는 퇴적물에서보다 더 낮은 0.0023∼0.03545 ppb 농도로 축적됐습니다.

환경과학원은 과불화합물은 생물체에 한번 들어가면 잔류성이 높아 계속 축적되지만 규제 기준이 없고 인체 유해성 여부도 아직 결론이 안 난 상태라며, 앞으로 붕어 외에도 조사 대상 생물종을 확대하고 생태 영향에 대해서도 조사 연구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