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북한은

북한 로켓 발사 강행으로 중국 외교력 시험대 올라

일단 `차분한' 대응..조만간 中 고위인사 방북 가능성


오프라인 대표 이미지 - SBS 뉴스

북한이 3일 장거리 로켓 발사 수순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중국의 외교력이 시험대에 오른 형국이다.

우선 국제사회가 이번에도 북한이 인공위성으로 위장한 탄도미사일 발사 시험을 할 것이라고 비난하면서 이를 '저지'해달라며 중국을 주목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그동안 북한에 물심양면의 지원을 해온 '맹방'인 중국 만이 북한의 `마이동풍 행보'를 저지할 수 있다는 인식이 깔려 있다.

중국으로서도 발등에 불이 떨어진 모습이다. 이미 지난 4월 중국의 참여 속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의장성명을 내고 북한의 로켓 발사가 `안보리 결의 1718 및 1874호에 대한 중대한 위반으로서 더 이상의 추가적 도발이 있어서는 안 될 것'임을 경고해 북한이 이번에 발사를 강행하면 난감한 처지에 빠질 수 있어서다.

베이징 외교가에선 중국 당국이 '중재'를 서둘러야 파국을 막을 수 있다는 의견이 대세다. 북한이 이미 평북 동창리 발사대에 1단 장거리 로켓을 장착했고 다음 절차로 2∼3단 로켓 장착, 그리고 전력 및 연료주입 케이블 연결 등의 절차를 거쳐 오는 10일이면 사실상 발사 준비가 완료되는 등 시간이 그다지 많지 않아서다.

북한이 장거리 로켓을 발사하고, 이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본격적인 대북 제재에 나서면 대화가 아닌 대치 국면으로 치닫기 때문에 그 이전에 중국이 외교력을 발휘해 적절한 조정을 해야 한다는 주문인 셈이다.

사실 '상식 범위를 벗어난'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 계획에 처음엔 중국 지도부가 당황했다는 얘기도 흘러나온다.

우선 시진핑(習近平) 당 총서기의 첫 특사인 리젠궈(李建國)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원이 방북해 김정은 제1국방위원장을 만나고 다음 행선지로 향한 다음 날 북한이 돌연 장거리 로켓 발사 계획을 밝힌 게 모양새가 사납기 때문이다.

특히 시진핑이 리젠궈를 통해 김정은 방중 초청장을 담은 친서를 보냈을 가능성이 큰 상황에서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 발표는 시진핑 체면을 구긴 행위로 비칠 수 있는 점도 간과하기 어렵다.

그러나 주말을 거치면서 중국은 냉정해진 모습이다. 2일 친강(秦剛) 외교부 대변인이 내놓은 '차분한' 대응에서 그런 기색이 역력하다. 친 대변인은 "중국은 북한의 위성 발사 계획에 우려를 표시한다"면서도 "(한국ㆍ미국ㆍ일본 등) 각국의 반응에 주목할 것"이라고 했다.

중국의 입장은 미사일이든 위성이든 북한의 추가적인 로켓 발사는 유엔 안보리 결의 1718 및 1874호에 위반된다며 북한에 '제동'을 거는 한편 주변국엔 정세가 격화되지 않도록 냉정한 대처를 주문하는 것으로 요약된다.

베이징의 유력한 소식통은 "이번 주초에 중국 지도부가 '결정'을 내리면 실무진이 움직일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조만간 중국 고위 인사가 평양으로 건너가 설득 작업을 할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다.

김정은이 최고지도자로 등장한 이후 중국의 수뇌부와 직접적인 접촉이 '전무' 한 상황에서 중국의 시진핑 체제가 누구를 평양에 보낼지에 대해선 관측이 쉽지 않다. 그동안 김정은의 고모부로서 실세로 통하는 장성택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이 중국통으로 불려왔다는 점에서 장성택을 매개로 한 북ㆍ중 접촉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런 가운데 일각에선 중국의 외교력이 예전 같지 않을 것이라는 부정적인 견해도 표출된다. 북한이 중국의 경제 지원에 의존하면서도 '자주적인' 외교ㆍ안보 노선을 걸어온 점에 비춰볼 때 중국의 외교력이 한계를 보일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관측에서다.

북한이 장거리 로켓 발사 계획을 발표하면서 비록 몇 시간 전이지만 뉴욕 채널을 통해 미국에 통보한 점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위성으로 위장한 탄도미사일 발사 시험을 하려는 북한으로선 명분 쌓기 용으로 미국에 사전 통보했을 가능성이 크지만, 김정은 지도체제가 본격적인 북ㆍ미 대화 재개를 염두에 둔 행보 아니냐는 것이다.

이 때문에 중국 내에선 한국, 일본, 미국, 중국 모두 권력 교체기를 택해 '복잡한' 파문을 일으킬 장거리 로켓 발사 카드를 꺼내 든 북한의 의도를 경계하는 시각도 적지 않다.

(베이징=연합뉴스)

댓글
댓글 표시하기
지금 북한은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