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일주일에 나흘은 피곤…피로 원인은?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여러분은 언제가 가장 피곤하십니까? 한국인은 일주일에 무려 나흘을 피곤한 상태로 지낸다는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그렇다고 밀린 일 안 할 수도 없고, 이러다 말겠지 싶지만, 이 만성피로를 방치하면 건강과 업무 양쪽에 큰 후유증을 부를 수 있습니다.

조동찬 의학전문 기자입니다.

<기자>

한국인 1000명을 상대로 한 한 여론조사기관 설문 조사에서 일주일 중 월요일이 가장 피곤하다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습니다.

[김혜진(30세)/직장인 : 계속 휴식을 취하다가 출근을 해야 한다는 생각 때문에 아무래도 주초가 가장 피곤한 거 같아요.]

반면, 고 3학생은 목요일을, 가정 주부는 휴일인 일요일을 가장 피곤한 날로 꼽았습니다.

[유소영(34세)/주부 : 애들 학교 갈 준비부터 시작해서 또 이제 시장도 가서 반찬도 해놔야 되고 그냥 이제 또 새로운 한 주가 시작된다는 자체가 부담스러워요.]

피로의 원인으로는 업무 스트레스가 가장 많았습니다.

광고 영역

시간대로 보면 오전 7시와 8시 사이 그리고 오후 3시와 5시 사이에 피로함을 가장 많이 느낀다고 답했습니다.

출근시간대 그리고 퇴근 직전에 가장 피곤하다는 얘기입니다.

[안두영(45세)/직장인 : 퇴근 즈음에 일을 하면 평상시에 했던 업무를 똑같이 하더라도 시간이 더 걸리고 오류가 많이 발생하더라고요. 나중에 확인해보면요.]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에 발표된 연구 보고서입니다.

이스라엘의 가석방 전담 판사 8 명을 관찰해 봤더니 점심 시간 직후 즉 어느 정도 휴식을 취한 직후에는 가석방을 승인해 주는 비율이 79%였습니다.

반면 피로가 가장 많이 쌓이는 퇴근 시간 직전에는 가석방 승인률이 42%까지 떨어졌습니다.

연구팀은 이런 현상을 뇌의 피로도가 시간대별로 다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실제로 영국 런던대학이 만성 피로 증후군 환자 26명의 뇌를 MRI로 검사해 봤더니 뇌 회백질의 부피가 줄어들어 있었습니다.

[양희진/서울대 보라매병원 신경외과 교수 : (뇌의) 전두엽이나 측두엽이나 해마나 이와 관련된 부분들에서 기능적으로 변화가 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뇌의 피로를 푸는 데에는 포도당이 일시적으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만성 피로의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지 않을 경우 뇌의 퇴행성 변화가 진행되면서 기억력 감퇴나 인지능력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영상취재 : 주용진, 김태훈, 영상편집 : 이승희)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